본문 바로가기

정보 나눔/HEALTH

[자궁 근종] 여성 자궁근종의 증상 및 예방법

728x90
반응형

자료출처 : 다음백과 / 보건복지부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겨울엔 면역력 및 혈액순환 저하 자궁질환에 취약

 

자궁의 평활근종 Leiomyoma of uterus 

자궁의 평활근종은 자궁의 근육세포에서 생기는 종양입니다. 자궁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는 양성 종양입니다.
흔히 자궁근종이라고 부릅니다. 에스트로겐의 영향을 받는 일종의 호르몬 의존성 종양입니다. 여성에게 비교적 흔한 질병으로, 가임기 여성의 약 25~35%에서 발견됩니다. 특히 35세 이상의 여성 40~50%에게 발견됩니다.

출처: 국가건강정보포털


■ 자궁근종 원인
뚜렷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호르몬 변화와 관련성이 큰 것으로 알려진 자궁근종의 주요 원인 4가지

 

  • ① 유전적 요인(가족력)
    어머니 혹은 자매 중 발병 시, 자궁근종 발병 확률 2.5배 증가!

  • ② 호르몬
    자궁 내막의 형성을 촉진하기 위해 월경 주기마다 분비되는 에스트로겐이 자궁근종의 발달을 촉진!

  • ③ 비만
    몸무게가 10kg 늘어날 때마다 자궁근종의 위험도는 20% 증가!

  • ④ 성장인자
    평활근세포·섬유모세포에서 다양한 세포 성장인자들의 생산으로 자궁근종의 성장에 관여!

 

 


■ 자궁근종 증상
분명한 증상이 없어 더욱 주의해야 하는 자궁근종, 내 몸에 변화가 찾아왔을 때일수록 세심히 살피고 관찰할 필요가 있습니다.

 

  • 생리량이 많아지며 어지러운 증상이 동반된다.
  • 불규칙적인 부정출혈이 있거나 생리통이 심해진다.
  • 소변이 자주 마렵거나 변비가 생겼다.
  • 아랫배가 묵직하고 만져지는 것이 있으며, 밑이 빠질 것 같은 증상이 있다.
  • 성관계를 할 때 통증이 있다.

 

  • 1) 월경 이상
    월경 과다 등을 포함한 월경 이상은 자궁근종과 관련된 가장 흔한 증상입니다 특히 점막 하 근종이 있는 경우에 월경 과다가 흔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월경 양이 많아지고 월경 기간이 길어집니다. 월경 양이 많아지면, 혈병(clot)이 섞여 나오기도 합니다. 간혹 생리 주기가 아닐 때에도 출혈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자궁근종은 성장 인자 조절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자궁 주위의 혈관 이상을 일으켜서 월경 과다를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2) 통증
    흔하지는 않지만 골반통과 골반을 누를 때의 통증 역시 자궁근종의 증상일 수도 있습니다. 골반을 누를 때에 통증이 있거나 성교할 때의 통증, 월경통이 있을 수 있습니다.

  • 3) 압박감
    거대근종(250gm 이상)으로 인한 주위조직 압박으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근종이 방광을 압박하게 되면 빈뇨, 배뇨곤란 등이 생길 수 있고, 요관을 압박하면 소변이 정체되어 수두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직장을 누르게 되면, 변비나 배변시의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근종이 커져서 상복부를 누르게 되어 소화 장애가 있을 수도 있으며, 하대정맥이나 좌골 정맥을 눌러 다리가 붓거나 정맥류가 생기기도 합니다. 근종이 신경관을 누르게 되면, 등이나 다리 쪽으로 퍼지는 통증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 4) 자궁근종과 불임, 초기 유산
    자궁근종과 불임과의 관계는 불분명합니다. 많은 연구에서 자궁근종과 불임이 연관이 있다고 밝혀진 바 있으며, 최근의 연구에서는 특히 점막 하 근종과 근육 내 근종이 자궁 내의 구조를 변형시켜서 수정이 방해된다는 보고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자궁의 구조를 변화시키지 않는 근종의 경우에는 불임과 연관이 있는지에 대해 확실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습니다.

    자궁근종이 초기 유산과 연관되어 있는지에 대해서도 확실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습니다. 지금까지의 연구에 의하면 이 둘이 서로 연관 관계가 있지만 인과 관계는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에, 자궁근종이 초기 유산의 원인인지에 대해서는 분명하지가 않습니다.


  • 전신증상
    근종으로 인한 월경과다로 인하여 만성 빈혈증이 생겨서, 두통이나 무기력증이 생기기도 합니다. 또한 다량의 출혈로 인한 과잉 혈소판 생성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드물게는 거대한 자궁근종이 동맥과 정맥 간의 문합 역할을 하여 호흡곤란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 자궁근종 위험성

 

  • ① 출혈의 가능성
    모두가 그렇진 않지만, 부정출혈이 발생할 가능성 존재

  • ② 급성 통증
    자궁근종이 변성을 일으킬 때 갑작스러운 골반통·생리통 유발

  • ③ 난임의 가능성
    모든 가임기 여성의 70% 정도에 발견되며, 2~3% 정도 난임에 일부 영향

  • ④ 비뇨기 증상
    자궁근종의 부피가 증가함에 따라 방광이나 장을 눌러 빈뇨·급박뇨 증상

 

 


■ 자궁근종 예방법

 

  • ① 정기적인 검진
    자궁근종 환자 수와 증가와 함께 발병 연령대도 낮아진 만큼, 산부인과 정기검진을 통해 조기에 치료!

  • ② 충분한 숙면
    잠을 줄이면 면역력이 낮아져 몸이 쉽게 피로해질 수 있기에 7~8시간 정도 충분히 숙면

  • ③ 면역력 유지
    면역력에 좋은 음식인 꽃게, 굴, 고등어, 호박 등 섭취

  • ④ 체중 감량
    과체중·비만의 경우 자중근종 발생 위험이 높기에 규칙적인 운동과 균형 잡힌 식단으로 체중 감량

  • ⑤ 비타민D 섭취
    여성 호르몬에 영향을 주는 약, 보조제 섭취에 주의해야 하며 비타민D를 꾸준히 섭취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