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우리말

(44)
[다듬은 말] 미닝아웃, 주니어보드, 호스피탈리티, 라이브 커머스, 웨비나, 치팅데이, 유니콘 기업, 머그샷 제도, 워킹그룹 자료 출처 : 문화체육관광부 / 정책브리핑  우리말로 다듬어 바꾼 단어  · 미닝아웃(meaning out) → 소신 소비 특정 상품을 구입하고 공유함으로써 자신의 취향이나 신념 따위를 표출하는 일  · 주니어 보드(junior board) → 청년 중역 회의 기업이 과장급 이하 청년 사원들을 청년 중역으로 임명해 기존의 임원 회의나 중역 회의와는 별도로 회사 중요 안건이나 문제를 제안·토의·의결하게 하는 제도  · 호스피탈리티 (hospitality) → 손님맞이 고객의 욕구와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  · 라이브 커머스(live commerce) → 실시간 소통 판매 인터넷 생방송을 통해 판매자와 소비자가 실시간으로 소통하며 물건을 사고파는 방식의 전자 상거래  · 웨비나..
[다듬은 말] 알아두면 꼭 써먹을 다듬은 말 4가지_ 워케이션, ESG경영, 펫 로스 증후군, 오픈 캠퍼스 자료출처 : 문화체육관광부 / 극립국어원  / 정책브리핑  말하기도 쉽고 이해도 쉬운 ‘다듬은 말’  ■ 워케이션(worcation) → 휴가지 원격 근무 원격 근무의 한 형태로, 휴가지에서 휴가와 업무를 병행하는 일  ■ 이에스지(ESG) 경영(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經營) → 환경·사화·투명 경영· 환경보호와 사회적 기여도를 고려하고 법과 윤리를 준수하며 지배 구조를 개선하고자 하는 경영 철학  ■ 펫 로스 증후군(pet loss 症候群) → 반려동물 상실 증후군 반려동물의 실종이나 죽음으로 상실감, 슬픔, 우울감, 절망감 등을 느끼는 현상  ■ 오픈 캠퍼스(open campus) → 기관-대학협력교육 공공기관이 지역 대학과 협력해 그 지역 대학생들을 대상으..
[우리말] 쉬운 우리말로 다듬어야 할 외국 용어 자료출처 : 문화체육관광부 / 정책브리핑 2023년, 국민에게 물었습니다! “쉬운 우리말로 다듬어야 할 외국 용어는?”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은 이러한 외국 용어를 쉬운 우리말로 다듬고 있습니다. 2023년 다듬었던 용어는 총 67개. 이 중 국민 여러분에게 가장 많은 호응을 얻었던 말은 무엇일까요? 1위. 칠링 이펙트(chilling effect) → 위축 효과 *과도한 규제나 압력으로 말과 행동이 위축되는 현상 2위. 멀웨어(malware) → 악성 프로그램 *소유자의 승낙 없이 컴퓨터 시스템에 침입하거나 시스템을 손상하기 위해 설계된 소프트웨어 3위. 생크추어리(sanctuary) → 동물 보호 구역 *생존을 위협받거나 야생으로 돌아갈 수 없는 동물들을 보호하는 구역 4위. 콜 포비아(call ..
[다듬은 말] 국민이 직접 고른 2022년 가장 적절하게 다듬은 말은? 자료출처 : 문화체육관광부 / 정책브리핑 어려운 외국어를 쉬운 우리말로 바꾼 ‘다듬은 말’. 국민이 뽑은 2022년 태어난 다듬은 말 중에서 가장 적절하게 바뀌었다고 생각하는 단어 순위 1위. 오픈 스페이스(open space) 대신 ‘열린 쉼터’ 도시 계획에서 사람들에게 놀이 활동을 하게 하거나 마음의 편안함을 줄 목적으로 마련한 공간. “요즘 신도시들은 설계 단계부터 열린 쉼터를 충분히 확보해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2위. 뉴 스페이스(new space) 대신 ‘민간 우주 개발’ 민간이 주도하는 우주 개발을 이르는 말. 정부가 주도하는 우주 개발인 ‘올드 스페이스(old space)’와 대비. “순수 우리 기술로 만든 ‘누리호’의 발사가 성공하면서 ‘민간 우주 개발’ 사업 ..
[같은 발음, 다른 뜻 ④] 느리다, 늘이다, 늘리다 / 아름, 알음, 앎 / 조리다, 졸이다 / 주리다, 줄이다 / 이따가, 있다가 자료출처: 국립국어원 / 우리말샘 느리다 / 늘이다 / 늘리다 느리다 [느리다] 어떤 동작을 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길다. 어떤 일이 이루어지는 과정이나 기간이 길다. 늘이다 [느리다] 본디보다 더 길어지게 하다. 선 따위를 연장하여 계속 긋다. 그는 말은 빠른 반면에 동작은 무척 느리다. 시계가 느리다. 경계망을 늘이다. 상품의 가지 수를 늘이다. ▷ 늘리다 [늘리다] ① 물체의 넓이, 부피 따위를 본디보다 커지게 하다. ② 수나 분량 따위를 본디보다 많아지게 하거나 무게를 더 나가게 하다. ③ 힘이나 기운, 세력 따위를 이전보다 큰 상태로 만들다. '늘다'의 사동사 ④ 재주나 능력 따위를 나아지게 하다. '늘다'의 사동사 ⑤ 살림을 넉넉하게 하다. ⑥ 시간이나 기간을 길게 하다. [용례] 간접 투자를..
[같은 발음, 다른 뜻 ③] 가름, 갈음 / 거름, 걸음 / 노름, 놀음 / 목거리, 목걸이 / 반드시, 반듯이 / 어름, 얼음 / 자료출처: 국립국어원 / 우리말샘 가름, 갈음 가름 [가름] 쪼개거나 나누어 따로따로 되게 하는 일. 승부나 등수 따위를 정하는 일. 갈음 [가름] 다른 것으로 바꾸어 대신 함. 이기고 지는 것은 대개 외발 싸움에서 가름이 났다. 차림새만 봐서는 여자인지 남자인지 가름이 되지 않는다. 여러분과 여러분 가정에 행운이 가득하기를 기원하는 것으로 치사를 갈음합니다. 가족 모음으로 돌잔치를 갈음한다. 거름, 걸음 거름 [거름] 식물이 잘 자라도록 땅을 기름지게 하기 위하여 주는 물질. 걸음 [거름] 두 발을 번갈아 옮겨 놓는 동작. 일정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움직임. 축산의 활기로 각 농가의 가축분으로 거름이 생산되어 토지가 비옥하게 될 것이다. 오늘, 사내는 딱딱하게 굳은 땅을 갈아서 어제의 거름 진 흙을 뒤섞..
[같은 발음, 다른 뜻 ②] 다치다, 닫히다 / 마치다, 맞히다 / 바치다, 받히다 / 시키다, 식히다 / 저리다, 절이다 자료출처: 국립국어원 / 우리말샘 다치다 / 닫히다 다치다 [다치다] 부딪치거나 맞거나 하여 신체에 상처가 생기다. 또는 상처를 입다. 닫히다 [다치다] (열려 있던 문이나 뚜껑이) 도로 제자리로 가게 되어 안과 밖 사이가 통하지 못하다. 수레에 깔려 다치다. 넘어져 무릎을 다치다. 바람에 창문이 덜컹 닫히다. 쇠문이 절꺼덕 소리를 내며 닫히다. 마치다 / 맞히다 마치다 [마치다] 어떤 일이나 과정, 절차 따위가 끝나다. 또는 그렇게 하다. 맞히다 [마치다] 문제에 대한 답을 틀리지 않게 하다. ‘맞다’의 사동사. 군 복무를 마치다. 공부를 마치다. 아이의 엉덩이에 주사를 맞히다. 과녁판의 붉은 점을 맞히다. 바치다 / 받히다 바치다 [바치다] 1.고스란히 쏟아붓다 2.정중하게 드리다 받히다 [받치다] ..
[같은 발음, 다른 뜻 ①] 겉잡다, 걷잡다 / 거치다, 걷히다 / 부치다, 붙이다 / 안치다, 앉히다 / 다리다, 달이다 자료출처: 국립국어원 / 우리말샘 겉잡다 / 걷잡다 겉잡다 [걷짭따] (사람이 무엇을) 겉으로 보고 대강 짐작하여 헤아리다 걷잡다 [걷짭따] 한 방향으로 치우쳐 흘러가는 형세 따위를 붙들어 잡다. 마음을 진정하거나 억제하다. 한 달 생활비를 대충 겉잡지 말고 꼼꼼하게 예산을 짜서 살림을 해야지! 철수는 이성을 잃은 영희가 어떤 행동을 할지를 겉잡을 수 없었다. 그는 수화기를 붙잡은 채 부르르 몸을 떨었다. 걷잡을 수 없는 불안감이 전신을 엄습해왔다. 불길이 걷잡을 수 없이 번져 나갔다. [국립국어원 온라인 가나다] Q '걷잡을 수 없다' 와 '겉잡아서 이틀 걸릴 일' 두 문장에서 겉과 걷 둘다 허용되나요? 그렇지 않다면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A '걷잡다'는 '한 방향으로 치우쳐 흘러가는 형세 따위를 붙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