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시옷] 사이시옷은 언제 쓸까? / 숫자, 횟수, 셋방, 곳간, 툇간, 찻간
자료출처: 국립국어워 / 다음백과 / (주)천재교육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예외 단어 6개: 숫자(數字), 횟수(回數), 셋방(貰房), 곳간(庫間), 툇간(退間), 찻간(車間) □ 사이시옷 우리말의 명사 또는 명사에 준할 만한 말 둘을 합하여 하나의 낱말을 만들 때,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고 뒷말의 첫소리가 ‘ㄱ’, ‘ㄷ’, ‘ㅂ’, ‘ㅅ’, ‘ㅈ’으로 시작하는 경우, 그 뒷말의 첫소리가 특별한 이유 없이 된소리로 나거나, 뒷말의 첫소리가 ‘ㄴ’, ‘ㅁ’ 또는 모음일 때, ‘ㄴ’이나 ‘ㄴㄴ’소리가 덧날 때에 이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하는 문자. ‘냇가’, ‘촛불’, ‘제삿날’, ‘냇물’, ‘나뭇잎’ 등에서의 ‘ㅅ’이 ..
[문장 부호 ⑧] 소괄호 ( ), 중괄호 { }, 대괄호 [ ]
자료출처 : 국립국어원 소괄호( )는주석이나 보충적인 내용을 덧불일 때, 우리말 표기와 원어 표기를 아울러 보일 때, 생략할 수 있는 요소임을 나타낼 때, 희곡 등 대화를 적은 글에서 동작이나 분위기, 상태를 드러낼 때, 내용이 들어갈 자리임을 나타낼 때, 항목의 순서나 종류를 나타내는 숫자나 문자 등에 쓴다. 중괄호{ }는 같은 범주에 속하는 여러 요소를 세로로 묶어서 보일 때,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가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음을 보일 때 쓴다. 대괄호[ ]는 괄호 안에 또 괄호를 쓸 필요가 있을 때 바깥쪽의 괄호로 쓴다. 고유어에 대응하는 한자어를 함께 보일 때, 원문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이나 논평 등을 덧붙일 때 쓴다. □ 문장 부호 □ 문장 부호는 글에서 문장의 구조를 드러내거나 글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