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우리말

(44)
[맞춤법] 로서 / 로써, 구분법 자료출처: 국립국어원 / 우리말샘 '~를 가지고' '~를 사용해서'를 넣었을 때 자연스러우면 '로써', 어색하면 '로서' 로서 1. (받침 없는 체언이나 ‘ㄹ’ 받침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 붙어) 지위나 신분 또는 자격을 나타내는 격 조사. 2. ((받침 없는 체언이나 ‘ㄹ’ 받침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 붙어)) (예스러운 표현으로) 어떤 동작이 일어나거나 시작되는 곳을 나타내는 격 조사. 로써 1. ((받침 없는 체언이나 ‘ㄹ’ 받침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 붙어)) 어떤 물건의 재료나 원료를 나타내는 격 조사. ‘로’보다 뜻이 분명하다. 2.((받침 없는 체언이나 ‘ㄹ’ 받침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 붙어)) 어떤 일의 수단이나 도구를 나타내는 격 조사. ‘로’보다 뜻이 분명하다. 3. ((받침 없는 체언이나 ..
[사이시옷] 사이시옷은 언제 쓸까? / 숫자, 횟수, 셋방, 곳간, 툇간, 찻간 자료출처: 국립국어워 / 다음백과 / (주)천재교육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예외 단어 6개: 숫자(數字), 횟수(回數), 셋방(貰房), 곳간(庫間), 툇간(退間), 찻간(車間) □ 사이시옷 우리말의 명사 또는 명사에 준할 만한 말 둘을 합하여 하나의 낱말을 만들 때,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고 뒷말의 첫소리가 ‘ㄱ’, ‘ㄷ’, ‘ㅂ’, ‘ㅅ’, ‘ㅈ’으로 시작하는 경우, 그 뒷말의 첫소리가 특별한 이유 없이 된소리로 나거나, 뒷말의 첫소리가 ‘ㄴ’, ‘ㅁ’ 또는 모음일 때, ‘ㄴ’이나 ‘ㄴㄴ’소리가 덧날 때에 이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하는 문자. ‘냇가’, ‘촛불’, ‘제삿날’, ‘냇물’, ‘나뭇잎’ 등에서의 ‘ㅅ’이 ..
[문장 부호 ⑫] 줄임표(……) 자료출처: 국립국어원 줄임표(……)는 할 말을 줄였을 때, 말이 없음을 나타낼 때, 문장이나 글의 일부를 생략할 때, 머뭇거림을 보일 때 쓴다. 줄임표 뒤에는 마침표나 물음표 또는 느낌표를 쓰는 것이 원칙이다. 점은 가운데에 찍는 대신 아래쪽에 찍을 수도 있다. 여섯 점을 찍는 대신 세 점을 찍을 수도 있다. □ 문장 부호 □ 문장 부호는 글에서 문장의 구조를 드러내거나 글쓴이의 의도를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부호이다. ▶ 줄임표(……) 글에서 말을 줄일 때 쓰이는 부호. ‘……’의 이름이다. 줄임표(……) (1) 할 말을 줄였을 때 쓴다. ▶ 할 말을 줄였음을 나타낼 때는 줄임표를 쓴다. 이때는 줄임표로써 문장이 끝나는 것이므로 줄임표 뒤에는 마침표나 물음표 또는 느낌표를 쓰는 것이 원칙이다. "어디..
[문장 부호 ⑪] 숨김표(O,X) / 빠짐표(□) 자료출처: 국립국어원 'O'는 동그라미표, 'X'는 가세표 또는 가위표라고 한다. 숨김표( ○, ×)는 금기어나 공공연히 쓰기 어려운 비속어임을 나타낼 때, 그 글자의 수효만큼 쓴다. 또한, 비밀을 유지해야 하거나 밝힐 수 없는 사항임을 나타낼 때 쓴다. 빠짐표(□)는 옛 비문이나 문헌 등에서 글자가 분명하지 않을 때 그 글자의 수효만큼 쓴다. 글자가 들어가야 할 자리를 나타낼 때 쓴다. □ 문장 부호 □ 문장 부호는 글에서 문장의 구조를 드러내거나 글쓴이의 의도를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부호이다. ▶ 숨김표( O, X ) 안드러냄표의 하나. 알면서도 고의로 드러내지 않으려고 할 때 사용하는 ‘××’, ‘○○’ 등의 이름. 그 글자의 수효만큼 쓰인다. ▶ 빠짐표(□) 안드러냄표의 하나. 글자의 자리를 ..
[문장 부호 ⑩] 물결표(~) / 드러냄표(˙)와 밑줄(_) 출처 : 국립국어원 / 다음 사전 물결표(~)는 기간이나 거리 또는 범위를 나타낼 때 쓴다. 드러냄표( ˙ )와 밑줄( _ )은문장 내용 중에서 주의가 미쳐야 할 곳이나 중요한 부분을 특별히 드러내 보일 때 쓴다. 드러냄표나 밑줄 대신 작은따옴표를 쓸 수 있다. □ 문장 부호 □ 문장 부호는 글에서 문장의 구조를 드러내거나 글쓴이의 의도를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부호이다. □ 물결표( ~ ) □ 이음표의 하나로, 주로 숫자, 시기나 장소를 나타내는 말의 사이에 쓰여, ‘무엇과 무엇의 사이’, ‘얼마에서 얼마까지’라는 뜻을 나타내는 부호. □ 드러냄표( ˙ ) □ 문장에서, 중요하거나 주의가 미쳐야 할 부분을 특별히 드러내 보일 때 쓰는 부호. ‘˙’를 이른다. 가로쓰기에서는 글자 위에, 세로쓰기에서는 ..
[문장 부호 ⑨] 줄표(―), 붙임표(-) 자료출처 : 국립국어원 줄표(―)는 제목 다음에 표시하는 부제의 앞뒤에 쓴다. 붙임표(-)는 차례대로 이어지는 내용을 하나로 묶어 열거할 때 각 어구 사이에, 두 개 이상의 어구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나타내고자 할 때 쓴다. 줄표와 붙임표는 길이로 구분한다. 줄표가 붙임표보다 상대적으로 길다. □ 문장 부호 □ 문장 부호는 글에서 문장의 구조를 드러내거나 글쓴이의 의도를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부호이다. □ 줄표(―) □ 이음표의 하나. 이미 말한 내용을 다른 말로 부연하거나 보충할 때 그 앞뒤나 사이에 긋는 줄. □ 붙임표(-) □ 이음표의 하나로, ‘-’의 이름. 사전이나 논문 따위에서 합성어를 나타낼 때, 접사나 어미임을 나타낼 때, 외래어와 고유어 또는 한자어가 결합될 때에 쓴다. 줄표(―) ..
[문장 부호 ⑧] 겹낫표(『 』)와 겹화살괄호(《 》), 홑낫표(「 」)와 홑화살괄호(〈 〉) 자료출처 : 국립국어원 겹낫표(『 』)와 겹화살괄호(《 》)는 책의 제목이나 신문 이름 등을 나타낼 때 쓴다. 혼낫표(「 」)와 홑화살괄호(〈 〉 )는 소제목, 그림이나 노래와 같은 예술 작품의 제목, 상호, 법률, 규정 등을 나타낼 때는 그 앞뒤에 홑낫표나 홑화살괄호를 쓰는 것이 원칙이고 작은따옴표를 쓰는 것도 허용된다. □ 문장 부호 □ 문장 부호는 글에서 문장의 구조를 드러내거나 글쓴이의 의도를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부호이다. □ 겹낫표(『 』) □ 책의 제목이나 신문 이름 등을 나타낼 때 쓰인다. 세로쓰기에서 큰따옴표를 대신해서 쓰는 기호 □ 겹화살괄호(《 》) □ 묶음표의 하나. 문장 부호 ‘≪ ≫’의 이름이다. 책의 제목이나 신문 이름 등을 나타낼 때 쓴다. □ 홑낫표(「」) □ 소제목이나..
[문장 부호 ⑧] 소괄호 ( ), 중괄호 { }, 대괄호 [ ] 자료출처 : 국립국어원 소괄호( )는주석이나 보충적인 내용을 덧불일 때, 우리말 표기와 원어 표기를 아울러 보일 때, 생략할 수 있는 요소임을 나타낼 때, 희곡 등 대화를 적은 글에서 동작이나 분위기, 상태를 드러낼 때, 내용이 들어갈 자리임을 나타낼 때, 항목의 순서나 종류를 나타내는 숫자나 문자 등에 쓴다. 중괄호{ }는 같은 범주에 속하는 여러 요소를 세로로 묶어서 보일 때,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가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음을 보일 때 쓴다. 대괄호[ ]는 괄호 안에 또 괄호를 쓸 필요가 있을 때 바깥쪽의 괄호로 쓴다. 고유어에 대응하는 한자어를 함께 보일 때, 원문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이나 논평 등을 덧붙일 때 쓴다. □ 문장 부호 □ 문장 부호는 글에서 문장의 구조를 드러내거나 글쓴..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