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깔 표현] 검정(O), 검정색(X), 검은색(O)
검정색, 빨강색, 노랑색은 비표준어 검정, 빨강, 노랑 혹은 검은색, 빨간색, 노란색으로 표기해야 한다. 검정색 : '검은색'의 비표준어 _ 고려대한국어대사전 표준 국어 대사전에 따르면 '검정'은 '검은 빛깔이나 물감'의 의미로, 여기에 '색'을 붙여 '검정색'처럼 표현하는 것이 문법적으로 불가능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검정'의 의미에 이미 '색'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으며, '숯이나 먹의 빛깔과 같이 어둡고 짙은 색'의 의미인 '검은색'이 이미 표준어로 있으므로, 굳이 '검정색'이라는 표현을 쓰는 것보다는 '검은색'으로 쓰는 것이 좀 더 나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 점에서 '검정색'을 표준어로 인정하는 데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하겠습니다. (2020년 2월 28일 국립국어원 상담사례 中) '검정'은 그 자..
[같은 발음, 다른 뜻] 동음이자(同音異字)(2), 빗/빚/빛
▷ '빗 /빚 / 빛'은 [빋]으로 발음한다. ‘빗, 빚, 빛’의 발음은 [빋]이다. 뒤에 허사가 연결되면 원래의 발음이 그대로 연결되어 발음한다. ‘빗이[비시], 빚이[비지], 빛이[비치]’와 같이 발음한다. ■ 표준어 규정 제4장 제9항 받침 ‘ㄲ, ㅋ’, ‘ㅅ, ㅆ, ㅈ, ㅊ, ㅌ’, ‘ㅍ’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각 대표음 [ㄱ, ㄷ, ㅂ]으로 발음한다. 빗 / 빚 / 빛 : 글자 뜻 [출처 : 국립국어원 / 우리말샘] 빗 [빋] 머리털을 빗을 때 쓰는 도구, 대나무, 뿔이나 금속 따위로 참빗, 얼레빗, 면빗, 음양소 따위가 있다. 빚 [빋] 남에게 갚아야 할 돈, 꾸어 쓴 돈이나 외상값 따위를 이른다. 갚아야 할 은혜 따위를 비유격으로 이르는 말. 빛 [빋] 시각 신경을 자극하여 물체를 볼 ..
[같은 발음, 다른 뜻] 동음이자(同音異字)(1) 낫/낮/낯
▷ '낫 / 낮 / 낯'은 [낟]으로 발음한다. ■ 표준어 규정 제4장 제9항 받침 ‘ㄲ, ㅋ’, ‘ㅅ, ㅆ, ㅈ, ㅊ, ㅌ’, ‘ㅍ’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각 대표음 [ㄱ, ㄷ, ㅂ]으로 발음한다. ‘낫, 낮, 낯, 낱’과 같은 단어들은 받침이 다르게 쓰였더라도 어말이나 자음 앞에서는 모두 동일하게 [낟]으로 발음되는 것이다. 이처럼 음절 종성에서 발음이 [ㄱ, ㄷ, ㅂ] 중 하나로 바뀌는 자음들은 모두 장애음이라는 공통점을 지닌다. 장애음에 대립되는 자음 부류는 공명음이며 비음과 유음이 여기에 속한다. 공명음은 종성에 놓여도 제 음가대로 발음된다. 즉 ‘ㄴ, ㄹ, ㅁ, ㅇ’은 종성에서도 온전하게 실현될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국어 음절 종성에서 발음될 수 있는 7개의 자음은 장애음 3개(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