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44) 썸네일형 리스트형 [문장 부호 ⑦] 큰따옴표(" ") / 작은따옴표(' '), 세계의 문장부호 자료출처 : 국립국어원 글 가운데에서 직접 대화를 표시할 때 큰따옴표를 쓴다. 희곡처럼 전체가 대사로 이루어진 글에서는 큰따옴표를 쓰지 않는다. 큰따옴표(" ")는 말이나 글을 직접 인용할 때 쓴다. 작은따옴표(' ')는 인용한 말 안에 있는 인용한 말을 나타낼 때 쓴다. 소제목, 그림이나 노래와 같은 예술 작품의 제목, 상호, 법률, 규정 등을 나타낼 때, 문장 내용 중에서 주의가 미쳐야 할 곳이나 중요한 부분을 특별히 드러내 보일 때에도 쓸 수 있다. □ 문장 부호 □ 문장 부호는 글에서 문장의 구조를 드러내거나 글쓴이의 의도를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부호이다. □ 큰따옴표(" ") □ 가로쓰기에 사용되는 따옴표의 하나로, 문장 부호인 ‘“ ”’의 이름. 문장 가운데서 직접 대화나 특별 어구를 나타.. [문장 부호 ⑥] 쌍점(:) / 빗금(/) 자료출처 : 국립국어원 / 다음백과 쌍점은 앞말과 붙여 쓰고 뒷말과 띄어 쓰는 것이 원칙 쌍점은 표제 다음에 해당 항목을 들거나 설명을 붙일 때, 희곡 등에서 대화 내용을 제시할 때 말하는 이와 말한 내용 사이에 쓴다 의존 명사 '대'가 쓰일 자리에 쓴다 빗금은 대비되는 두 개 이상의 어구를 묶어 나타낼 때 그 사이에 쓴다. 빗금은 시의 행이 바뀌는 부분임을 나타낼 때 쓴다. 다만, 연이 바뀜을 나타낼 때는 두 번 겹쳐 쓴다 □ 문장 부호 □ 문장 부호는 글에서 문장의 구조를 드러내거나 글쓴이의 의도를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부호이다. □ 쌍점(:)□ 문장 부호의 하나. 쌍점(:)은 어떤 범주에 포함되는 종류를 열거할 경우에 사용한다. 예를 들면, '문장 부호: 마침표, 쉼표, 따옴표, 묶음표' 등이다.. [문장 부호 ⑤] 가운뎃점(·) - alt +183(가운뎃점 넣기), ㄱ + 한자 : 문장부호 넣기, 열거할 어구들을 일정한 기준으로 묶어서 나타낼 때 쓴다 출처 : 국립국어원 열거할 어구들을 일정한 기준으로 묶어서 나타낼 때 쓴다 짝을 이루는 어구들 사이에 쓴다(쉼표 대체 가능.) 하나의 어절로 묶어서 나타낼 때는 가운뎃점을 쓰는 것이 원칙이다(쉼표 대체 가능.) 공통 성분을 줄여서 하나의 어구로 묶을 때 쓴다. 공통 성분이 줄어서 하나의 어구로 묶인 말 중에는 단어로 굳어진 것이 있다(선후배, 민형사, 직간접 등) 가운뎃점은 앞말과 뒷말에 붙여 쓴다. □ 문장 부호 □ 문장 부호는 글에서 문장의 구조를 드러내거나 글쓴이의 의도를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부호이다. □ 가운뎃점 □ 문장 부호의 하나. ‘ㆍ’의 이름이다. 열거할 어구들을 일정한 기준으로 묶어서 나타낼 때 쓰거나, 짝을 이루는 어구들 사이에, 공통 성분을 줄여서 하나의 어구로 묶을 때 쓴다. .. [문장 부호 ④] 쉼표(,) - 쉼표는 각 어구를 구분하는 기능을 하며, 호흡을 조절하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 출처 : 국립국어원 쉼표는 각 어구를 구분하는 기능을 하며, 호흡을 조절하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 쉼표와 '그리고'를 함께 쓰지 않는다. ('그리고' 앞에는 쉼표를 쓰지 않는다.) 열거의 순서를 나타내는 어구 다음에 쓴다.(먼저, 다음으로, 마지막으로 ······) '곧', '다시 말해' 등과 같은 어구로 다시 설명할 때 앞말 다음에 쓴다. 도치문에서 도치된 어구들 사이에 쓴다. 문장 중간에 끼어든 어구의 앞뒤에 쓴다. 삽입한 어구 안에 쉼표가 있을 때에는 삽입한 어구의 앞뒤에는 쉼표를 쓰지 않고 줄표를 써야 한다. □ 문장 부호 □ 문장 부호는 글에서 문장의 구조를 드러내거나 글쓴이의 의도를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부호이다. □ 쉼표 □ 마침표, 느낌표, 물음표 등의 문장 부호는 문장의 가장 끝에 오.. [문장 부호 ③] 느낌표(!) - 감탄문이나 감탄사의 끝에 쓴다. 출처 : 국립국어원 감탄문이나 감탄사의 끝에 쓴다. 감탄의 정도가 약할 때는 느낌표 대신 쉼표나 마침표 제목이나 표어는 느낌표를 쓰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물음의 말로 놀람이나 항의의 뜻을 나타내는 경우에 쓴다. 감정을 넣어 대답하거나 다른 사람을 부를 때 쓴다. 감정을 넣어 대답하거나 다른 사람을 부를 때 느낌표를 쓴다. □ 문장 부호 □ 문장 부호는 글에서 문장의 구조를 드러내거나 글쓴이의 의도를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부호이다. □ 느낌표 □ 기쁨, 슬픔, 놀람 등의 느낌을 나타내는 문장의 끝에 쓰거나, 특별히 강한 느낌을 나타내는 낱말이나 평서문, 명령문, 청유문에 특별히 강한 느낌을 나타낼 때, 물음의 말로 놀람이나 항의의 뜻을 나타낼 때, 감정을 넣어 대답하거나 다른 사람을 부를 때 느낌표(.. [문장 부호 ②] 물음표(?) - 의문문이나 의문을 나타내는 어구의 끝에 쓴다. 출처 : 국립국어원 제목이나 표어에는 쓰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선택적 물음이 이어질 때는 맨 끝의 물음에만, 독립적일 때는 각 물음 뒤에 쓴다. 소괄호 안에 물음표를 쓰는 것으로써 의심, 빈정거림 등의 감정상태를 간편하게 표현할 수 있다. 모르거나 불확실한 내용임을 나타낼 때 쓴다. 물음표는 앞말에 붙여 쓴다. □ 문장 부호 □ 문장 부호는 글에서 문장의 구조를 드러내거나 글쓴이의 의도를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부호이다. 물음표는? (1) 의문문이나 의문을 나타내는 어구의 끝에 쓴다. "의문문, 즉 의문형 종결 어미가 쓰인 문장의 끝에는 물음표를 쓰는 것이 원칙이다. 의문형 종결 어미가 쓰이지 않았거나 전형적인 문장 형식을 갖추지 않았더라도 의문을 나타낸다면 그 끝에 물음표를 쓴다." 몸은 좀 괜찮으.. [문장 부호 ①] 마침표(.) - 문장의 끝, 제목이나 표어 (쓰지 않는 것이 원칙) / 2021.12.25.(O) 2021.12.25(X) 출처 : 국립국어원 서술, 명령, 청유 등을 나타내는 문장의 끝에 쓴다. 제목이나 표어에는 마침표를 쓰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아라비아 숫자만으로 연월일을 표시할 때 쓴다. 2021.12.25.(O), 2021.12.25(X) 특정한 의미가 있는 날을 표시할 때 월과 일을 나타내는 아라비아 숫자 사이에 쓴다. (3.1 운동 / 8.15 광복) 장, 절, 항 등을 표시하는 문자나 숫자 다음에 쓴다. (가. 머리말, 1. 연구 목적) '마침표' 대신 '온점'이라고 쓸 수 있다. "마침표는 앞말에 붙여 쓴다." □ 문장 부호 □ 문장 부호는 글에서 문장의 구조를 드러내거나 글쓴이의 의도를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부호이다. 마침표는? (1) 서술, 명령, 청유 등을 나타내는 문장의 끝에 쓴다. 문장은 크게 평.. [맞춤법] '장이'와 '쟁이', (멋쟁이 / 월급쟁이 / 개구쟁이 / 담쟁이 / 소금쟁이 / 미장이 / 옹기장이 / 양복장이) 출처 : 국립국어원 / '어떠한 기술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가리킬 때는 '-장이' '나쁜 버릇이나 독특한 습관, 행동 따위'를 가리킬 때는 '-쟁이' -장이 ‘그것과 관련된 기술을 가진 사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 간판장이 / 땜장이 / 양복장이 -쟁이 「1」 ‘그것이 나타내는 속성을 많이 가진 사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 겁쟁이 / 고집쟁이 / 떼쟁이 「2」 ‘그것과 관련된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그런 사람을 낮잡아 이를 때 쓴다. ▷ 관상쟁이 / 그림쟁이 / 이발쟁이 표준 국어 대사전의 풀이 방식에 따르면 '-쟁이'는 어떠한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의미가 있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장이'는 그러한 의미를 찾기 어렵겠습니다. 다만 이는 어디까지나 경향성을 가리키는..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