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출처 : 국립국어원 |
제목이나 표어에는 쓰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선택적 물음이 이어질 때는 맨 끝의 물음에만, 독립적일 때는 각 물음 뒤에 쓴다.
소괄호 안에 물음표를 쓰는 것으로써 의심, 빈정거림 등의 감정상태를 간편하게 표현할 수 있다.
모르거나 불확실한 내용임을 나타낼 때 쓴다.
물음표는 앞말에 붙여 쓴다.
□ 문장 부호 □
문장 부호는 글에서 문장의 구조를 드러내거나 글쓴이의 의도를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부호이다.
물음표는? |
(1) 의문문이나 의문을 나타내는 어구의 끝에 쓴다. |
"의문문, 즉 의문형 종결 어미가 쓰인 문장의 끝에는 물음표를 쓰는 것이 원칙이다.
의문형 종결 어미가 쓰이지 않았거나 전형적인 문장 형식을 갖추지 않았더라도 의문을 나타낸다면 그 끝에 물음표를 쓴다."
- 몸은 좀 괜찮으십니까?
- 휴가를 낸 김에 며칠 푹 쉬고 온다?
- 무슨 일?
▶ 한 문장 안에 몇 개의 선택적인 물음이 이어질 때는 맨 끝의 물음에만 쓰고, 각 물음이 독립적일 때는 각 물음의 뒤에 쓴다.
- 너는 중학생이니, 고등학생이니?
- 너는 여기에 언제 왔니? 무엇하러 왔니?
▶ 의문의 정도가 약할 때는 물음표 대신 마침표를 쓸 수 있다.
- 도대체 이 일을 어쩐단 말이냐.
- 이것이 과연 내가 찾던 행복일까.
의문의 정도가 약하면 물음표 대신 마침표를 쓸 수 있는데, 의문의 정도가 강하고 약함은 글쓴이의 의향에 달려 있다. 특히 반어 의문문에는 마침표를 쓰는 경우가 많다. 형식적으로는 의문문이지만, 실제로는 묻는 내용이 아니기 때문이다.
▷ 이번 시간에는 별자리에 대해 알아볼까요? / 알아볼까요.
▷ 내가 널 두고 어디를 가겠느냐. / 가겠느냐?
▷ 구름 없는 하늘에 비 올까. / 올까?
▶ 제목이나 표어에는 쓰지 않음을 원칙으로 한다.
- 역사란 무엇인가
- 아직도 담배를 피우십니까
의문문 형식의 제목이나 표어 등에는 물음표를 쓰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다만, 특별한 의도나 효과를 드러내고자 할 때는 예외적으로 물음표를 쓸 수도 있다.
▷ 사막의 동물들은 어떻게 살아갈까 / 살아갈까? (제목)
반응형
(2) 특정한 어구의 내용에 대하여 의심, 빈정거림 등을 표시할 때, 또는 적절한 말을 쓰기 어려울 때 소괄호 안에 쓴다. |
물음표는 의문 이외에도 의심스러운, 빈정거림 등의 감정 상태를 드러내는 부호로 쓸 수 있다. 이런 감정 상태는 표할 할 적절한 말이 없거나, 표현을 하더라도 구구하게 쓰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때 해당 어구 뒤에 소괄호 안에 물음표를 쓰는 것으로써 그러한 감정 상태를 간편하게 표현할 수 있다.
- 우리와 의견을 같이할 사람은 최 선생(?) 정도인 것 같다.
- 30점이라, 거참 훌륭한(?) 성적이군.
- 우리 집 강아지가 가출(?)을 했어요.
728x90
(3) 모르거나 불확실한 내용임을 나타낼 때 쓴다. |
물음표는 모르거나 불확실한 내용임을 나타내는 부호로 쓸 수 있다.
- 노자(?~?)는 중국 춘추 시대의 사상가로 도를 좇아서 살 것을 역설하였다. (모르는 내용)
- 순자(기원전 298?~기원전238?)는 맹자의 성선설에 대하여 성악설을 제창하였다. (불확실은 내용)
"물음표는 앞말에 붙여 쓴다."
2021.12.10 - [우리말] - [문장 부호 ①] 마침표(.) - 문장의 끝, 제목이나 표어 (쓰지 않는 것이 원칙) / 2021.12.25.(O) 2021.12.25(X)
728x90
반응형
LIST
'우리말 > 문장부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장 부호 ⑥] 쌍점(:) / 빗금(/) (0) | 2021.12.21 |
---|---|
[문장 부호 ⑤] 가운뎃점(·) - alt +183(가운뎃점 넣기), ㄱ + 한자 : 문장부호 넣기, 열거할 어구들을 일정한 기준으로 묶어서 나타낼 때 쓴다 (0) | 2021.12.20 |
[문장 부호 ④] 쉼표(,) - 쉼표는 각 어구를 구분하는 기능을 하며, 호흡을 조절하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 (0) | 2021.12.15 |
[문장 부호 ③] 느낌표(!) - 감탄문이나 감탄사의 끝에 쓴다. (0) | 2021.12.14 |
[문장 부호 ①] 마침표(.) - 문장의 끝, 제목이나 표어 (쓰지 않는 것이 원칙) / 2021.12.25.(O) 2021.12.25(X) (1) | 2021.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