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정보 나눔/FOOD

(45)
[식품 벌레] 식품 중 많이 발생하는 이물(벌레)의 특징 및 관리방법 자료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 식품안전나라 식품 이물 신고 중 가장 많이 차지하는 이물은 무엇일까요? 바로 벌레입니다. 이물신고 현황에 따르면, 벌레 신고 건이 21.9%에 달합니다.   식품 이물질로 자주 발생하는 벌레는 파리류, 나방류, 딱정벌레류로 확인되는데요.이중에서도 나방파리, 화랑곡나방, 권연벌레가 대표적입니다.   파리류의 대표종, 나방파리   나방류의 대표종, 화랑곡나방   딱정벌레류의 대표종, 권연벌레  식품 내 혼입 방지를 위한 관리 방법 나방파리   화랑곡나방 & 권연벌레
[숲푸드] 우리 임산물 새로운 브랜드, 숲푸드 자료 출처 : 산림청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우리 임산물 새로운 브랜드 '숲푸드'란? 임업인이 국내에서 재배한 임산물 및 가공품을 지칭하는 국가 공동 상표. 믿을 수 있는 고품질 임산물을 생산·유통하도록 관리해 임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접근성을 높일 계획이에요. ■ 브랜드 등록건수2025년 300종 → 2030년 1,500종  ■ 숲푸드 임산물 어떤 종류가 있나요? 임산물은 농경시대 이전부터 채취하던 태초의 먹거리로 현재는 숲에서 재배·채취해 생산해요.숲푸드 91종 약용류 20종- 오미자, 헛개나무, 초피나무, 옻나무 등 약초류 18종산양삼, 천마, 하수오, 결명자, 감초, 마 등그 밖의 임산물 18종- 가시오갈피, 둥굴레, 산수국, 우산나물 등수실류 14종- 감, 복분자딸기, 밤 대추, 호두, 잣 등산..
[알레르기] 식품 알레르기 관리법 자료 출처 : 질병관리청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 식품알레르기 원인  식품알레르기는 특정 음식에 들어있는 성분에 면역 체계가 과민하게 반응하여 발생하는 질환입니다.대부분의 단백질은 조리나 소화과정에서 분해되지만, 일부 단백질은 분해되지 않고 몸에 흡수되어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주요 알레르기 유발 식품]우유, 달걀, 밀, 호두·땅콩, 메밀, 새우, 대두, 해산물, 과일류, 고기류   ■ 식품알레르기 증상  특정 음식을 섭취한 후 두드러기, 부종, 가려움, 복통, 설사 등 불편한 증상을 겪을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아나필락시스*라는 응급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나필락시스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응급상황으로 알레르기 반응이 신체 여러 부위에 빠르게 퍼지면서 피부 가려움, 목 안과 혀의 ..
[살균·소독제] 식품용 살균제와 기구 등의 살균·소독제 올바른 사용법 자료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용 살균제(7 품목) 과산화수소, 차아염소산나트륨, 차아염소산칼슘, 차아염소산수,  이산화염소수, 오존수, 과산화초산 ㅇ식품용 살균제란? 식품 표면의 미생물을 단시간 내에 사멸시키는 작용을 하는 식품첨가물을 말하며, 유해 미생물로 인한 식중독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습니다.  ㅇ식품용 살균제 사용방법 과일류, 채소류 등 식품의 살균 목적에 한하여 침지하는 방법으로 사용해야 하며, 최종식품의 완성 전에 제거해야 합니다.  ㅇ기구등의 살균·소독제란? 식품용 기구등(식품조리·판매용 기구등, 유가공용 기구등, 식품등 제조·가공·소분용 기구등)의 표면에 묻어있는 식중독 균을 살균·소독함으로써 식중독 발생을 예방하는 식품첨가물입니다.  ㅇ기구등의 살균·소독제 사용방법 기구..
[산화방지제] 식품의 산화를 막아주는 산화방지제 바로알기 자료 출처 : 식품의약품 안전처  "산화방지제란?" 식품의 산화를 늦춰주어 영양 손실, 색의 변화, 유해물질 생성 등 식품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는 식품첨가물입니다.*산화: 물질이 산소와 반응하거나 전자를 빼앗기는 현상    "산화방지제가 없다면 어떻게 될까요?" 식품이 산화되면 지방 등의 식품 성분이 파괴되어 맛과 향이 떨어지고 색이 변할 수 있어요!산화방지제 사용 - 맛, 향, 색 유지산화방지제 미사용 - 맛과 향 저하, 변색    "산화방지제는 어떤 식품에 사용되나요?" 일반적으로 지방의 함량이 높은 가공식품에 주로 사용됩니다.마요네즈, 과자, 식용유지류, 버터류, 소스 등에 사용되고 있어요!    "산화방지제로 사용 가능한 첨가물은 무엇인가요?" 산화방지제로는 이. 디. 티. 에이. 칼슘이 나트륨,..
[곰팡이] 공팡이로부터 안전한 식품 관리 방법 자료 출처 : 식품의약품 안전처 / 정책브리핑 식품 곰팡이는 사계절 모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날씨가 덥고 습한 여름철은 음식이 빨리 상해 보관, 관리에 신경을 많이 쓰지만, 상대적으로 겨울이 되면 관리에 소홀해질 수 있어요. 하지만 식품 위생은 계절을 가리지 않아요. 계절에 관계없이 곰팡이로부터 우리의 건강과 먹거리를 지키려면 다음 주의사항을 확인해 주세요!  구매 시 주의 사항  ■ 필요한 양만큼 구매, 포장 상태 확인  보관 시 주의사항 ■ 곡류는 습도 60% 이하, 온도는 10-15℃ 이하 준수 냉장·냉동 보관기준 준수 저장 시 주의사항 ■ 저장 시 벽이나 바닥으로부터 거리를 유지하고 청소, 환기 등 청결 유지  취식 시 주의사항 ■ 남은 음식은 밀봉 보관하고, 곰팡이가 핀 식재료는 반드시 통째..
[신선편의 식품] 채소, 과일샐러드 안전하게 섭취하기 / 샐러드 씻어야 할까? 자료출처 : 식품안전정보원 / 식품의약품안전처 / 정책브리핑 '채소샐러드', '커팅과일' 제품은 가급적 구입 후 바로 드세요! 만약 나중에 먹을 거라면 반드시 냉장 보관하세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신선편의식품을 대상으로 보관 온도별로 식중독균 수 증가 속도를 측정했어요.조사결과 채소샐러도·커팅과일 제품 모두 보관온도가 높을수록 식중독균 수가 증가하였습니다.(조사방법 :유통 중인 신선편의식품에 인위적으로 식중독균을 오염시킨 후 보관온도 별로 증가속도를 측정)  냉장온도(4℃, 10℃)에서는 채소샐러드·커팅과일 모두 병원성 대장균은 4~10일, 황색포도상구균은 2~3일 동안 초기균수를 유지하여, 냉장온도에서는 식중독균 증식이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 신선편의식품농·임산물을 세척, 박피, 절단 또..
[친환경농축산물 인증제도] 친환경마크. 무농약과 유기농의 차이 / 친환경 인증표시 자료출처 : 정책브리핑 / 친환경 인증관리 정보시스템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 친환경농축산물 생물의 다양성을 증진하고, 토양에서의 생물적 순환과 활동을 촉진하며, 농업생태계를 건강하게 보전하기 위하여 합성농약, 화학비료, 항생제 및 항균제 등 화학자재를 사용하지 아니하거나 사용을 최소화한 건강한 환경에서 생산한 농축산물 □ 친환경농축산물 인증제도 정부가 지정한 전문 인증기관이 농축산물의 생산 전 과정이 친환경 인증기준에 적합한 지를 심사하여 인증서를 교부하고 친환경농축산물로 인증한 제품에만 인증표시를 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제도  ■ 무농약 VS 유기농, 무슨 차이일까? 유기농 = 유기합성농약 X + 화학비료 X무농약 = 유기합성농약 X + 화학비료 O (권장 성분량 1/3 이하)   ■ 친환경 인증표..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