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자료 출처 : 산림청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
우리 임산물 새로운 브랜드 '숲푸드'란?
임업인이 국내에서 재배한 임산물 및 가공품을 지칭하는 국가 공동 상표.
믿을 수 있는 고품질 임산물을 생산·유통하도록 관리해 임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접근성을 높일 계획이에요.
■ 브랜드 등록건수
2025년 300종 → 2030년 1,500종

■ 숲푸드 임산물 어떤 종류가 있나요?
- 임산물은 농경시대 이전부터 채취하던 태초의 먹거리로 현재는 숲에서 재배·채취해 생산해요.
- 숲푸드 91종
- 약용류 20종
- 오미자, 헛개나무, 초피나무, 옻나무 등 - 약초류 18종
산양삼, 천마, 하수오, 결명자, 감초, 마 등 - 그 밖의 임산물 18종
- 가시오갈피, 둥굴레, 산수국, 우산나물 등 - 수실류 14종
- 감, 복분자딸기, 밤 대추, 호두, 잣 등 - 산나물류 12종
- 더덕, 고사리, 두릅, 취나물, 참나물, 곤드레 등 - 산림버섯류 8종
- 표고, 송이, 능이, 목이, 복령, 꽃송이버섯 등 - 수목부산류 1종
- 수액, 나무껍질 등 나무에서 나오는 부산물

■ 왜 임산물일까요? 국민 건강증진 임산물은 풍부한 영양과 약리적, 기능적 성분을 갖춘 친환경 먹거리예요
- 표고버섯
에르고티오네인이 항산화 효과
렌티난 항암, 에리타데닌은 콜레스테롤 개선 - 오미자
항염증, 피부미백, 항당뇨, 등
'쉬잔드린'은 자양강장, '안토시아닌' 시력 개선 효과 - 호두
오메가3, 리놀렌산 풍부
뇌·신경세포 보호, 항산화, 간 보호, 항비만 등에 효과적

■ 왜 임산물일까요? 지역 경제 활성화
임산물 활용 지역산업은 청년 및 노년층에게 새로운 일자리를 제공하고 청년층 인구 및 지역 교류 인구가 늘어나, 지역 경제가 활성화 돼요!
- 경북 문경 오미자밸리
연 17억 원 매출, 25개국 수출 7.9만 불('24) 지역 내 계약재배로 경제 활성화 및 오미자 체험촌 등 관광 상품 운영 - 강원 평창 평창팜
미 FDA에 곤드레 등 4품목 등록 매출액 7.7억 원, 미국·중국 등 5개국 수출 실적 6.3만불 - 전북 익산 (유)케어팜
지역 수매 30톤 감초로 음료, 화장품 등 가공품 제작 및 판매 연 매출 13억 원 청년창업농 교육기관 지정 등

■ 왜 임산물일까요? 기후위기 극복
임산물은 숲 속에서 재배하므로 산림 보전과 병행이 가능하고 농약, 비료 등의 최소화로 환경친화적인 먹거리를 생산할 수 있어요.
- 충주 (주)슬로우파머
- 산나무 아래에 각종 산나물 식재 - K-Forest Food 등록으로 무공해 관리
- 산림체험·치유 프로그램 제공 - 거창 북상임산
- 잣나무 탄소흡수량: 약 1,300톤(평균수령 35년 130ha)
- 잣 표고버섯 등 연중 생산, 고사리·오미자 등 제철품목 함께 재배 - 김천 우리호두
- 유기농 인증 획득(3년 이상 농약 및 화학비료 사용 X)
- 제초제 없는 친환경 생산 노력

728x90
반응형
LIST
'정보 나눔 > FOO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품 벌레] 식품 중 많이 발생하는 이물(벌레)의 특징 및 관리방법 (0) | 2025.03.20 |
---|---|
[알레르기] 식품 알레르기 관리법 (0) | 2025.02.20 |
[살균·소독제] 식품용 살균제와 기구 등의 살균·소독제 올바른 사용법 (2) | 2024.11.21 |
[산화방지제] 식품의 산화를 막아주는 산화방지제 바로알기 (1) | 2024.11.20 |
[곰팡이] 공팡이로부터 안전한 식품 관리 방법 (0) | 2024.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