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정보 나눔/FOOD

(45)
[수산물 이름] 수산물 이름 유래 / 도루묵, 임연수어, 명태, 굴비, 김, 꽁치, 꼬막, 멸치 자료출처: 정책브리핑 / 해양수산부 말짱 도루묵이네~ 도루묵! 임진왜란 당시 선조가 피난 중 ‘묵’이라는 생선을 맛있게 먹고 ‘은어’라는 이름을 지어줬는데, 전쟁이 끝나고 궁으로 돌아가 다시 먹어보니 맛이 없어 “도로 묵이라 불러라”라고 한다. 이때부터 묵은 ‘도루묵’이라 불렸다고 한다. 알고 보니 사람 이름?! 임연수어 조선시대 문헌 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에 “옛날 함경북도에 임연수林延壽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이 물고기를 잘 낚았다. 이로 말미암아 본토박이가 그런 이름을 붙였다.”라고 유래가 쓰여 있다. 명천의 태씨, 명태! 조선시대 문헌 임하필기(林下筆記)에 “명천에 태씨 성을 가진 어부가 어떤 물고기를 잡아 도백(지금의 도지사)에게 바쳤는데, 도백이 맛있게 먹고 그 이름을 물으니 아는 이가 없었다. ..
[수산물] 장어, eel , 長魚 자료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 어식백세 / 정책브리핑 ■ 장어, eel , 長魚 당멸치상목 뱀장어목에 속하는 생물. '장어'라는 이름은 한자어로, '긴 물고기'를 뜻한다. 몸이 긴 것이 특징으로, 마치 뱀과 같은 형태를 띤다. 크기는 일반 물고기와는 다르게 작게는 약 60cm에서 4m까지 길이가 다양하다. 한국에서 잘 알려진 장어는 뱀장어로 민물과 바다에 모두 서식한다. 식성은 육식성이다. 식재료로 사용할 때에는 구이가 가장 일반적이다. 체력을 보강하는 장어 장어는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해 주고 상한 기를 보해 주며 류머티즘을 없애주는 효과가 있다. 장어는 따뜻한 성질이 있고 단맛을 내며 간과 신장의 기능을 왕성하게 한다. 장어는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칼슘, 인, 철, 비타민 A.B, 니코틴산들의 ..
[수산물] 넙치(광어) 자료출처: 해양수산부 / 다음백과 광어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표준명은 '넙치'다. 좌광우도! 생선의 머리가 아래쪽을 향한 상태에서 눈쏠림이 왼쪽이면 광어, 오른쪽이면 도다리! ■ 넙치(광어) 몸길이는 60cm가량이며, 모양은 위아래로 넓적한 긴 타원형이다. 입이 크고 이빨이 잘 발달되어 있다. 눈은 몸의 왼쪽에 있다. 눈이 있는 쪽은 진한 황갈색 바탕에 흑색 및 백색 반점이 흩어져 있으나, 눈이 없는 쪽은 백색이다. 수심 10-200m 연안의 모래나 펄 지역에 서식하며, 2-6월에 산란한다. 우리나라 전 연안에 출현하며, 쿠릴 열도, 일본, 남중국해에 분포한다. 회, 찜, 구이, 탕 등으로 이용한다. 양식 대상종으로 많이 양식한다. 넙적한 체형 때문에 흔히 '광어'라고 부르며, 눈이 왼쪽에 있기 때문에 ..
[봄나물] 봄동 자료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 주요 식재료 검수 도감 / 다음백과 베타카로틴 함량이 높은 봄동은 납작 배추, 납딱 배추, 딱갈 배추, 떡 배추라고 불린다. □ 봄동 냉이, 달래 등과 함께 대표적 봄채소로 분류되는 봄동은 겨울에 노지에서 재배된 배추를 일컫는다. 겨울의 추운 날씨 때문에 결구(속이 꽉 참)되지 못하고 잎이 옆으로 퍼져있다. 김장김치보다 수분이 많아 단맛이 강하고, 아미노산이 풍부하여 씹을수록 고소한 맛이 난다. 또한 일반 배추보다 두껍지만 조직이 연하며, 씹는 식감이 좋다. 외식업소에서는 주로 겉절이, 샐러드 등 양념이나 소스에 무쳐 계절성을 반영한 메뉴에 활용한다. 원산지: 전남 진도 / 해남 / 완도, 경북 칠곡 생산시기 : 11~3월 ■ 봄동 고르는 법 1. 시든 잎이 거의 없고 청결..
[두릅] 두릅, 손질방법 / 보관방법 / 자료출처: 식품안전나라 / 식품의약품안전처 / 대한민국 식재총람 / 정책브리핑 두릅의 종류는 세 개, 참두릅, 개두릅, 땅두릅 맛과 향이 좋은 '두릅'은 비타민C, 섬유질 등이 풍부하다. 독특한 향과 맛으로 산채의 제왕이라 불리는 두릅은 봄철을 대표하는 산나물이지만 하우스 재배 등을 통해 봄에서 가을까지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다. 여느 봄나물처럼 살짝 데쳐 초고추장을 찍어 먹는 등 최대한 두릅 자체의 향과 식감을 살려 먹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최근에는 한식 뿐 아니라 다양한 음식의 재료로 활용되고 있다. 두릅의 종류 땅두릅 독활이라고도 불리는 땅두릅은 4~5월경 새순을 땅을 파 잘라낸 것으로 강원도와 충북에서 많이 재배된다. 개두릅 엄나무의 새순으로 쌉싸름한 맛에 향이 강하고 약효가 좋아 두릅 중에서도 ..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