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다음백과 |
24절기 중 세 번째 절기, 경칩(驚蟄)
"겨울잠 자는 벌레나 동물이 깨어나 꿈틀거린다"
계절 | 24 절기(節氣) | |||||
봄 | 입춘(立春) | 우수(雨水) | 경칩(驚蟄) | 춘분(春分) | 청명(淸明) | 곡우(穀雨) |
여름 | 입하(立夏) | 소만(小滿) | 망종(芒種) | 하지(夏至) | 소서(小暑) | 대서(大暑) |
가을 | 입추(立秋) | 처서(處暑) | 백로(白露) | 추분(秋分) | 한로(寒露) | 상강(霜降) |
겨울 | 입동(立冬) | 소설(小雪) | 대설(大雪) | 동지(冬至) | 소한(小寒) | 대한(大寒) |
□ 24절기(節氣)
1달에서 5일을 1후, 3후인 15일을 1기라 하여 이것이 기후를 나타내는 기초가 된다. 1년을 12절기와 12중기로 나누어 보통 24절기라 하는데, 절기는 1달 중 월초에 해당하며, 중기는 월중에 해당한다.
24절기에는 봄이 시작되는 입춘을 비롯하여 우수·경칩·춘분·청명·곡우·입하·소만·망종·하지·소서·대서·입추·처서·백로·추분·한로·상강·입동·소설·대설·동지·소한, 그리고 겨울의 매듭을 짓는 대한이 있다.
24절기는 중국의 계절을 기준으로 했기 때문에 한국의 기후에 꼭 들어맞지는 않는다. 또한 날짜가 경도에 따라 변하므로 매년 양력은 같지만 음력은 달라진다. 음력 날짜가 계절과 차이가 많이 날 때는 윤달을 넣어 계절과 맞게 조정한다. 그 외 한식·단오·삼복·추석 등은 한국에서 오래전부터 사용해오던 절기이다.
▷ 사주에서 띠의 기준 시작점 또한 24절기의 시작인 입춘이다.
▷ 삼복(초복, 중복, 말복)은 24절기로 착각하기 쉬운 날이지만 이날은 잡절에 속하며 24절기에 포함되지 않는다. 다만 정하는 규칙에 24절기에 해당하는 날이 기준으로 들어있어 24절기에 의해 정해지는 것은 맞다. 삼복은 십간이 '경'인 날에 든다는 또 다른 특성이 있어서 10일 단위의 날이 되며 해마다 24절기보다는 날짜가 더 확확 변한다. 그래서 한 해의 복은 이듬해의 복과 정확히 360일 또는 370일 간격이다.
경칩(驚蟄): 24절기 中 세 번째 절기 |
우수와 춘분 사이에 있는 24절기의 하나. 양력 3월 5일 경에 든다.
24절기 중 세 번째 날로 우수(雨水)와 춘분(春分) 사이에 있는 절기. 24절기는 기본적으로 태양의 궤도인 황도의 움직임을 기본으로 정해지므로 양력 날짜에 연동된다. 경칩은 태양의 황경이 345°인 날로 대개 3월 5일이나 6일이다. 우수로부터 15일 후가 되는 날로, 이 무렵 기온이 비교적 빠르게 오르고 가끔 봄 천둥이 친다. 경칩은 땅의 얼음이 녹으며 땅 속에서 겨울잠을 자던 개구리와 벌레들이 천둥소리에 놀라 깨어나 활동을 시작한다는 날이다.
유래
'경칩'이라는 말은 '봄철이 되어 겨울잠을 자던 동물들이 천둥 소리에 놀라 깨어나 움직이는 것'을 뜻한다. 원래 계칩(啓蟄)으로 불렀으나 기원전 2세기 중국 전한의 6대 황제였던 경제(景帝)의 이름이 유계(劉啓)여서, 황제 이름에 쓰인 글자를 피해서 쓰는 동양 전통에 따라 '계'자를 '놀랄 경(驚)'자로 바꾸어 '경칩'이라는 말로 변경되었다. 중국의 전통의학서인 <황제내경(黃帝內經)>(기원전 475~221)에 계절의 변화와 인간의 삶에 대해 언급된 이래, 당나라의 역사서인 <구당서(舊唐書)>(945), 원나라의 <수시력(授時曆)>(1281) 등 여러 문헌에 경칩 기간을 5일 단위로 3후로 구분하고 있다.
이들 기록에 따르면 초후(初候)에는 복숭아 꽃이 피기 시작하고, 중후(中候)에는 꾀꼬리가 짝을 찾아 울며, 말후(末候)에는 매가 보이지 않고 비둘기가 활발하게 날아다니기 시작한다. 경칩 기간에 대한 이런 묘사가 조선 초 이순지(李純之) 등이 펴낸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1444) 등 한국의 여러 문헌에도 인용되고 있는데, 중국 문헌의 절기는 주(周)나라 때 화북(華北, 지금의 화베이 지방으로 베이징과 텐진이 있는 지역) 지방의 기후가 바탕이 된 것이기 때문에 한국의 각 지역 기후와는 차이가 있다.
풍속
중국에서는 경칩에 백호가 먹이를 찾아 나온다는 전설이 있으며, 이 날 호랑이에게 물리면 그 해 모든 일이 순조롭지 못하다고 여겨서, 호환을 피하기 위해 경칩 날에 종이로 만든 호랑이에게 제사를 지내는 풍습이 있었다. 종이호랑이는 노란 색에 검은 무늬를 그리고, 송곳니를 드러낸다. 제사 때에 돼지 피와 돼지 고기를 상에 올리고 돼지 기름을 종이호랑이 입에 발라서 인간을 탐하지 않도록 했다. 한편 명나라 때 마와 배를 팔아 거부가 된 보부상 거(渠)씨의 후손이 경칩에 배를 먹으며 선조의 창업 이야기를 전했다는 이야기에 따라 이날 배를 먹는 풍습이 있다.
한편, 경칩 무렵의 봄 천둥소리에 따라 북의 가죽을 고치기도 했고, 북을 치거나 연기를 집 안팎에 내어 잠에서 깨어난 벌레와 뱀들을 집 밖으로 몰아내었는데, 이는 점차 경칩에 불운을 쫓아내는 풍습으로 발전했다. 이 날 흔히 개구리나 도롱뇽의 알이 건강에 좋다고 하여 찾아 먹는 풍습이 있다. 경칩 날 보리싹이 자란 상태를 보고 한해 농사가 어떨지를 예측했으며, 흙과 관련된 일을 하면 탈이 없다고 하여 흙으로 담을 쌓기도 했다. 특히 빈대가 없어진다고 하여 일부러 흙벽을 바르기도 했고, 빈대가 심한 집에서는 재를 탄 물그릇을 방 네 귀퉁이에 놓아두기도 했다.
이 날 전남 구례 지방의 고로쇠나무에 구멍을 뚫어 받은 수액(水液)을 마시는데, 경칩 무렵에 받은 고로쇠나무 수액은 위장병이나 속병에 특효가 있다고 전한다. 보통 춘분(春分)이 지나야 물이 오르는 다른 나무들과는 달리 남쪽의 고로쇠나무는 일찍 물이 오르기 때문에 첫 수액을 먹어 한 해의 새 기운을 받는 풍습에서 비롯되었다. 조선 후기 다산 정약용의 아들 정학유(丁學游)가 지은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중 '이월령(음력이므로 대체로 양력 3월 무렵에 해당)'에 경칩, 춘분 절기에 대한 당시 농촌 풍습이 전한다.
은행 씨앗을 주고받으며 사랑을 싹 틔운 날 경칩驚蟄
24절기의 셋째 절기인 경칩은 일어난다는 '경(驚)' 자와 겨울잠 자는 벌레라는 뜻의 '칩(蟄)' 자가 어울린 말로 겨울잠 자는 벌레나 동물이 깨어나 꿈틀거린다는 뜻입니다. 만물이 움트는 이때 옛부터 젊은 남녀가 서로의 사랑을 확인하기 위해 은행 씨앗을 선물로 주고받고 날이 어두워지면 동구 밖에 있는 수나무 암나무를 도는 사랑놀이로 정을 다졌습니다. 그래서 경칩은 토종 '연인의 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왕실에서는 임금이 농사의 본을 보이는 적전(籍田)을 경칩이 지난 뒤의 '돼지날'에 선농제(先農祭)와 함께 하도록 했으며, 경칩 이후에는 갓 나온 벌레 또는 갓 자라는 풀을 상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불을 놓지 말라는 금령(禁令)을 내려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을 보이기도 했지요. 《성종실록》에 우수에는 삼밭을 갈고 경칩에는 농기구를 정비하며 춘분에는 올벼를 심는다고 한 데서 알 수 있듯 우수와 경칩은 본격적인 농사를 준비하는 중요한 때입니다.
더러 민간에서는 경칩에 개구리 알이나 도롱뇽 알을 먹으면 몸에 좋다고 하였으나 어린 생명을 그르치는 지나친 몸보신은 삼가해야 할 것입니다.
또 단풍나무나 고로쇠나무에서 나오는 즙을 마시면 위장병이나 성병에 효과가 있다고 해서 먹기도 했습니다.
이날 흙일을 하면 탈이 없고 빈대가 없어진다고 해서 담벽을 바르거나 담장을 쌓았지요.
경칩은 슬슬 다가오는 봄맞이 채비를 해야 할 때입니다. _ 키질하던 어머니는 어디 계실까? | 김영조 | 인물과사상사
관련 속담
- 우수 경칩에 대동강 물이 풀린다
우수와 경칩을 지나면 아무리 추운 날씨도 수그러진다.
- 우수에 풀렸던 대동강이 경칩에 다시 붙는다
우수를 지나 좀 따뜻해졌던 날씨가 경칩 무렵에 다시 추워짐을 이르는 말.
용례
- 참, 경칩이 가까워 오니 대동강 물도 풀리겠군.
- 경칩 무렵이면 물가에서 개구리알을 주워 먹는 풍습이 있다.
- 경칩 때 하는 풍습으로는 단풍나무 수액 마시기, 개구리알 먹기 등이 있다.
- 경칩에 개구리알 먹기를 하면 허리에 힘이 좋아진다 해서 나이 지긋한 우리 조상들은 턱수염을 바람에 휘날리며 이날 개구리알을 찾으려고 산과 들을 헤맸다.
- 입춘 추위에 선늙은이 얼어 죽는다는 말도 있지마는 엊그제 우수, 경칩 다 지나고 이제 내일모레면 청명이 성큼 다가오는데도….
- 전남 구례 지방에는 최근 경칩을 전후해 채취되는 지리산의 명물 고로쇠 약수를 마시려는 관광객들이 쇄도하고 있다.
- 개구리가 긴 잠에서 깨어나는 경칩이다. 오물거리는 올챙이가 물속에서 관찰되고 성급한 식물들은 잎과 꽃을 내미는 그런 봄이 시작된다.
- 경칩을 하루 앞둔 5일 광주 중외 공원에서 홍매화가 봄비를 머금은 채 활짝 꽃망울을 터뜨려 발길을 붙잡고 있다.
- 경칩이 내일이지만 꽃샘바람이 불기에는 아직 절기가 이른데, 그 바람이 겨울처럼 코끝을 아리게 하지는 않았다.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이월령
이월은 중춘이라 경칩 춘분 절기로다
초육일 좀생이는 풍흉을 안다하며
스무날 음청으로 대강은 짐작나니
반갑다 봄바람에 의구히 문을 여니
말랐던 풀뿌리는 속잎이 맹동한다
개구리 우는 곳에 논물이 흐르도다
멧비둘기 소리나니 버들 빛 새로와라
보쟁기 차려 놓고 춘경을 하오리라
살진밭 가리어서 춘모를 많이 갈고
목화밭 되어두고 제 때를 기다리소
담뱃모와 잇 심기 이를수록 좋으니라
원림을 장점하니 생리를 겸하도다
일분은 과목이요 이분은 뽕나무라
뿌리를 상치 말고 비오는 날 심으리라
솔가지 꺾어다가 울타리 새로 하고
장원도 수축하고 개천도 쳐 올리소
안팎에 쌓인 검불 정쇄히 쓸어 내어
불 놓아 재 받으면 거름을 보태리니
육축은 못다하나 우마계견 기르리라
씨암탉 두세 마리 알 안겨 깨어 보자
산채는 일렀으니 들나물 캐어 먹세
고들빼기 씀바귀요 조롱장이 물쑥이라
달래김치 냉잇국은 비위를 깨치나니
본초를 상고하여 약재를 캐오리라
창백출 당귀 천궁 시호 방풍 산약 택사
낱낱이 기록하여 때 맞게 캐어 두소
촌가에 기구 없어 값진 약 쓰올소냐
'정보 나눔 > 24절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절기] 청명(淸明) / 관련 속담 (0) | 2022.04.06 |
---|---|
[24절기] 춘분(春分) / 관련 속담 (0) | 2022.03.29 |
[24절기] 눈이 녹아서 비나 물이 된다는 날_"우수" / 속담 (0) | 2022.02.19 |
[24절기] 입춘(立春)( 첫 번째 절기) / 풍속 / 관련 속담 (0) | 2022.02.05 |
[24절기] 대한(24 번째 절기) : 마지막 절후(節候) / 관련 속담 (0) | 2022.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