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출처: 다음백과 / 국립국어원 |
24절기 중 네 번째 절기, 춘분(春分)
밤과 낮의 길이가 같고, 추위와 더위가 같은 날!
계절 | 24 절기(節氣) | |||||
봄 | 입춘(立春) | 우수(雨水) | 경칩(驚蟄) | 춘분(春分) | 청명(淸明) | 곡우(穀雨) |
여름 | 입하(立夏) | 소만(小滿) | 망종(芒種) | 하지(夏至) | 소서(小暑) | 대서(大暑) |
가을 | 입추(立秋) | 처서(處暑) | 백로(白露) | 추분(秋分) | 한로(寒露) | 상강(霜降) |
겨울 | 입동(立冬) | 소설(小雪) | 대설(大雪) | 동지(冬至) | 소한(小寒) | 대한(大寒) |
□ 24절기(節氣)
1달에서 5일을 1후, 3후인 15일을 1기라 하여 이것이 기후를 나타내는 기초가 된다. 1년을 12절기와 12중기로 나누어 보통 24절기라 하는데, 절기는 1달 중 월초에 해당하며, 중기는 월중에 해당한다.
24절기에는 봄이 시작되는 입춘을 비롯하여 우수·경칩·춘분·청명·곡우·입하·소만·망종·하지·소서·대서·입추·처서·백로·추분·한로·상강·입동·소설·대설·동지·소한, 그리고 겨울의 매듭을 짓는 대한이 있다.
24절기는 중국의 계절을 기준으로 했기 때문에 한국의 기후에 꼭 들어맞지는 않는다. 또한 날짜가 경도에 따라 변하므로 매년 양력은 같지만 음력은 달라진다. 음력 날짜가 계절과 차이가 많이 날 때는 윤달을 넣어 계절과 맞게 조정한다. 그 외 한식·단오·삼복·추석 등은 한국에서 오래전부터 사용해오던 절기이다.
▷ 사주에서 띠의 기준 시작점 또한 24절기의 시작인 입춘이다.
▷ 삼복(초복, 중복, 말복)은 24절기로 착각하기 쉬운 날이지만 이날은 잡절에 속하며 24절기에 포함되지 않는다. 다만 정하는 규칙에 24절기에 해당하는 날이 기준으로 들어있어 24절기에 의해 정해지는 것은 맞다. 삼복은 십간이 '경'인 날에 든다는 또 다른 특성이 있어서 10일 단위의 날이 되며 해마다 24절기보다는 날짜가 더 확확 변한다. 그래서 한 해의 복은 이듬해의 복과 정확히 360일 또는 370일 간격이다.
춘분(春分): 24절기 中 네 번째 절기 |
경칩과 청명 사이에 있는 24절기의 하나. 양력 3월 20일이나 21일 무렵이다. 태양의 황경이 0°이며, 밤과 낮의 길이가 같은 날로, 북반구에서는 이날부터 낮의 길이가 밤보다 길어진다. 옛날에는 이날 날씨를 보아 한 해 농사가 풍년이 들 것인지 아닌지, 가뭄이 올 것인지 아닌지를 예측하기도 했다.
춘분에 비가 오면 병자가 드물다는 말이 있다. 농가에서는 봄 밭갈이를 시작하고, 지천에 돋아나는 봄나물을 뜯어 찬으로 삼는다.
이란, 터키, 아프가니스탄, 우즈베키스탄과 같은 나라에서는 이날부터 새해가 시작된다.
유래
'춘분'이라는 말은 태양의 궤도가 0°인 춘분점에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북반구에서는 이날부터 밤보다 낮이 길어지고, 남반구에서는 낮보다 밤이 길어진다. 중국의 전통의학서인 <황제내경(黃帝內經)>(기원전 475~221)에 계절의 변화와 인간의 삶에 대해 언급된 이래, 당나라의 역사서인 <구당서(舊唐書)>(945), 원나라의 <수시력(授時曆)>(1281) 등 여러 문헌에 춘분 기간을 5일 단위로 3후로 구분하고 있다.
이들 기록에 따르면 초후(初候)에는 남쪽에서 제비가 날아오고, 중후(中候)에는 우레 소리가 들리며, 말후(末候)에는 새해 들어 처음으로 번개가 친다. 춘분기간에 대한 이런 묘사가 조선 초 이순지(李純之) 등이 펴낸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1444) 등 한국의 여러 문헌에도 인용되고 있는데, 중국 문헌의 절기는 주(周)나라 때 화북(華北, 지금의 화베이 지방으로 베이징과 텐진이 있는 지역) 지방의 기후가 바탕이 된 것이기 때문에 한국의 각 지역 기후와는 차이가 있다.
풍속
조선 영조 때의 유중림이 펴낸 <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에 유중림이 추가한 내용인 '증보사시찬요(增補四時纂要)'에는, 춘분에 비가 오면 병자가 드물며, 해가 뜰 때 동쪽에 푸른 구름이 있으면 보리 풍년이 들고, 만약 날이 맑고 구름이 없으면 만물이 제대로 자라지 못한다고 보았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춘분에 구름이 끼거나 비가 오는 것이 한해 농사에 도움이 된다고 예측했음을 알 수 있다.
중국에서는 춘분에 복을 기원하는 그림이나 글을 연에 써 넣어 하늘에 날려서 신에게 소망을 빌거나, 남녀 노소를 막론하고 머리에 꽃을 꽂고 술을 마시는 풍습이 있다. 이날 들판에 지천으로 자라나는 봄나물을 뜯거나 지역 별로 봄을 맞는 음식을 차려서 먹는다. 조선 후기 다산 정약용의 아들 정학유(丁學游)가 지은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중 '이월령(음력이므로 대체로 양력 3월 무렵에 해당)'에 경칩, 춘분 절기에 대한 당시 농촌 풍습이 전한다.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쭉 이어져 왔던 풍습으로 제사(사한제) 지내기가 있다. 얼음이 매우 귀했던 과거에는 얼음을 잘 보관하기 위해서 입춘과 춘분에 제사(사한제)를 지냈다. 사한단에서 추위와 북방의 신인 현명씨에게 지내는 제사라고 하여 이를 '사한제'라고 한다. 춘분에 얼음을 보관하는 창고인 '빙고'에서 얼음을 꺼내는 개빙제(開氷祭)이다.
또한 춘분 풍습 중 나이떡(머슴떡) 먹기가 있다. 동국세시기에 기록에 춘분에는 정월 대보름에 세워두었던 볏가릿대를 다시 내린 후, 그 속에 담아두었던 곡식을 이용해 송편과 비슷한 모양의 '나이떡'을 만들어 먹었다고 한다. 본격적인 농사가 시작되는 춘분에 마을의 머슴을 모아 일 년 농사가 잘되길 기원하며 떡을 함께 나누어 먹은 데에서 '머슴떡'이라고 했다
춘분을 전후하여 철 이른 화초는 파종을 한다. 그리고 아울러 화단의 흙을 일구어 며칠 남지 않은 식목일을 위하여 씨 뿌릴 준비를 한다. 춘분을 즈음하여 농가에서는 농사준비에 바쁘다.
특히, 농사의 시작인 초경(初耕)을 엄숙하게 행하여야만 한 해 동안 걱정 없이 풍족하게 지낼 수 있다고 믿는다. 또 음력 2월중에는 바람이 많이 분다. 이때 날씨는 아침 기온이 0도 안팎으로 떨어져 꽃샘추위가 절정이다. “2월 바람에 김칫독 깨진다.”, “꽃샘에 설늙은이 얼어 죽는다.”라는.” 속담이 있듯이, 2월 바람은 동짓달 바람처럼 매섭고 차다.
이는 풍신(風神)이 샘이 나서 꽃을 피우지 못하게 바람을 불게 하기 때문이라 한다. 그래서 ‘꽃샘’이라고 한다. 한편, 이때에는 고기잡이를 나가지 않고 먼 길 가는 배도 타지 않는다.
관련 속담 및 용례
- 2월 바람에 김칫독 깨진다.
- 2월 바람에 검은 쇠뿔이 오그러 진다.
2월에 부는 바람이 검은 소의 뿔을 어그러뜨릴 정도로 몹시 차다는 뜻. - 꽃샘에 설늙은이 얼어 죽는다..
- 춘분날 밭을 갈지 않으면 일년내내 배부르지 못하다.
- 덥고 추운 것도 추분과 춘분까지다.
- 낙동강 하류에서 겨울을 난 철새들도 춘분을 넘기면 북쪽 먼 땅으로 이동해 갈 것이다.
'정보 나눔 > 24절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절기] 곡우(穀雨) / 관련속담 (0) | 2022.04.21 |
---|---|
[24절기] 청명(淸明) / 관련 속담 (0) | 2022.04.06 |
[24절기]경칩 / 속담 (0) | 2022.03.05 |
[24절기] 눈이 녹아서 비나 물이 된다는 날_"우수" / 속담 (0) | 2022.02.19 |
[24절기] 입춘(立春)( 첫 번째 절기) / 풍속 / 관련 속담 (0) | 2022.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