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나눔/[환경]

[미세먼지] 미세먼지 상식(먼지와 미세먼지 / 미세먼지의 위해성)

728x90
반응형

자료 출처 : 픽사베이 / 환경부 / 한국환경공단 / 자동차배출가스 종합전산시스템

 

먼지미세먼지

 

먼지란 대기 중에 떠다니거나 흩날려 내려오는 입자상 물질을 말하는데, 석탄·석유 등의 화석연료를 태울 때나 공장·자동차 등의 배출가스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먼지는 인자의 크기에 따라 50㎛이하인 총먼지(TSP, Total Suspended Particles Matter)로 구분합니다.
미세먼지는 다시 지름이 10㎛보다 작은 미세먼지(PM10)와 지름이 2.5㎛보다 작은 미세먼지(PM2.5)로 나뉩니다.
PM10이 사람의 머리카락 지름(50~70㎛)보다 약 1/5~1/7 정도로 작은 크리라면, PM2.5는 머리카락의 약 1/20~1/30에 불과할 정도로 매우 작습니다.

 

미세먼지 크기 비교

 

출처 : 미국환경보호청(EPA)

 

  • 미세먼지는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매우 작기 때문에 대기 중에 머물러 있다 호흡기를 거쳐 폐 등에 침투하거나 혈관을 따라 체내로 이동하여 들어감으로써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 세계보건기구(WHO)는 미세먼지(PM10, PM2.5)에 대한 대기질 가이드라인을 1987년부터 제시해 왔으며, 2013년에는 세계보건기구 산하의 국제암연구소(IARC,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에서 미세먼지를 사람에게 발암이 확인된 1군 발암물질(Group 1)로 지정하였습니다.

 


 

미세먼지 위해성

 

 

  • 먼지 대부분은 코털이나 기관지 점막에서 걸러져 배출됩니다. 반면 미세먼지(PM10)는 입자의 지름이 사람 머리카락 굵기의 1/5~1/7 정도인 10㎛이하로 매우 작아 코, 구강, 기관지에서 걸러지지 않고 우리 몸속까지 스며듭니다.

  • 만약 미세먼지의 농도와 성분이 동일하다면 입자크기가 더 작을수록 건강에 해롭습니다. 같은 농도인 경우 PM2.5는 PM10 보다 더 넓은 표면적을 갖기 때문에 다른 유해물질들이 더 많이 흡착될 수 있습니다. 또한 입자크기가 더 작으므로 기관지에서 다른 인체기관으로 이동할 가능성도 높습니다.

  • 일단 미세먼지가 우리 몸속으로 들어오면 면역을 담당하는 세포가 먼지를 제거하여 우리 몸을 지키도록 작용하게 되는데, 이때 부작용인 염증반응이 나타납니다. 기도, 폐, 심혈관, 뇌 등 우리 몸의 각 기관에서 이러한 염증반응이 발생하면 천식, 호흡기, 심혈관계 질환 등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 노인, 유아, 임산부나 심장질환, 순환기 질환자들은 미세먼지로 인한 영향을 일반인보다 더 많이 받을 수 있으므로 각별히 주의하여야 합니다.

  • 세계보건기구(WHO)는 2014년 한 해에 미세먼지로 인해 기대수명보다 일찍 사망하는 사람이 700만 명에 이른다고 발표했습니다.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미세먼지를 인간에게 암을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된 1군 (Group 1) 발암물질로 2013년 10월 분류했습니다.

 


 

미세먼지 Q&A

 

국제암연구소(IARC)에 따른 발암물질 분류

 


☞ 2023.03.14 - [정보 나눔/HEALTH] - [미세먼지] 미세먼지 Q&A

 

[미세먼지] 미세먼지 Q&A

자료출처 : 질병관리청 / 정책브리핑 □ 미세먼지 미세먼지는 우리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먼지 입자로 입자 크기에 따라 직경 10 ㎛ 이하 (10 ㎛은 0.001 ㎝)인 것을 미세먼지(PM10)라고 하며

michaela17.tistory.com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