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출처: 다음백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마지막 절후(節候), 대한
소한(小寒)과 입춘(立春) 사이에 드는 절기
"대한 끝에 양춘이 있다."
계절 | 24 절기(節氣) | |||||
봄 | 입춘(立春) | 우수(雨水) | 경칩(驚蟄) | 춘분(春分) | 청명(淸明) | 곡우(穀雨) |
여름 | 입하(立夏) | 소만(小滿) | 망종(芒種) | 하지(夏至) | 소서(小暑) | 대서(大暑) |
가을 | 입추(立秋) | 처서(處暑) | 백로(白露) | 추분(秋分) | 한로(寒露) | 상강(霜降) |
겨울 | 입동(立冬) | 소설(小雪) | 대설(大雪) | 동지(冬至) | 소한(小寒) | 대한(大寒) |
□ 24절기(節氣)
1달에서 5일을 1후, 3후인 15일을 1기라 하여 이것이 기후를 나타내는 기초가 된다. 1년을 12절기와 12중기로 나누어 보통 24절기라 하는데, 절기는 1달 중 월초에 해당하며, 중기는 월중에 해당한다.
24절기에는 봄이 시작되는 입춘을 비롯하여 우수·경칩·춘분·청명·곡우·입하·소만·망종·하지·소서·대서·입추·처서·백로·추분·한로·상강·입동·소설·대설·동지·소한, 그리고 겨울의 매듭을 짓는 대한이 있다.
24절기는 중국의 계절을 기준으로 했기 때문에 한국의 기후에 꼭 들어맞지는 않는다. 또한 날짜가 경도에 따라 변하므로 매년 양력은 같지만 음력은 달라진다. 음력 날짜가 계절과 차이가 많이 날 때는 윤달을 넣어 계절과 맞게 조정한다. 그 외 한식·단오·삼복·추석 등은 한국에서 오래전부터 사용해오던 절기이다.
▷ 사주에서 띠의 기준 시작점 또한 24절기의 시작인 입춘이다.
▷ 삼복(초복, 중복, 말복)은 24절기로 착각하기 쉬운 날이지만 이날은 잡절에 속하며 24절기에 포함되지 않는다. 다만 정하는 규칙에 24절기에 해당하는 날이 기준으로 들어있어 24절기에 의해 정해지는 것은 맞다. 삼복은 십간이 '경'인 날에 든다는 또 다른 특성이 있어서 10일 단위의 날이 되며 해마다 24절기보다는 날짜가 더 확확 변한다. 그래서 한 해의 복은 이듬해의 복과 정확히 360일 또는 370일 간격이다.
대한(大寒): 24절기 中 스물네 번째 절기 |
24절기 중 24번째 날로 소한(小寒)과 입춘(立春) 사이에 드는 절기. 24절기는 기본적으로 태양의 궤도인 황도의 움직임을 기본으로 정해지므로 양력 날짜에 연동된다. 대한은 태양의 황경이 300°인 날로 대개 양력 1월 20~21일 무렵이다. '대한'이라는 이름은 '큰 추위'라는 뜻인데, 한반도에서는 '작은 추위'라는 이름의 이전 절기인 '소한'보다 덜 춥다고들 여겼다.
원래 겨울철 추위는 입동(立冬)에서 시작하여 소한(小寒)으로 갈수록 추워지며 대한에 이르러서 최고에 이른다고 하지만, 이는 중국의 경험에 입각한 것이고 우리나라에서는 1년 중 가장 추운 시기가 1월 15일께 이므로 다소 사정이 다르다.
그래서 “춥지 않은 소한 없고 포근하지 않은 대한 없다.”, “대한이 소한의 집에 가서 얼어죽었다.”, “소한의 얼음 대한에 녹는다.”라는 속담도 있다. 즉, 소한 무렵이 대한 때보다 훨씬 춥다는 뜻이다.
제주도에서는 이사나 집수리 따위를 비롯한 집안 손질은 언제나 신구간(新舊間)에 하는 것이 관습화되어 있다. 이때의 신구간은 대한 후 5일에서 입춘 전 3일간을 말하는 것으로 보통 1주일이 된다고 한다.
유래 |
'대한'이라는 말은 '큰(大) 추위(寒)'라는 뜻이다. 동지에서 한 달 째 되는 날이다. 이름은 가장 추운 날이라는 뜻이지만, "소한의 얼음이 대한에 녹는다"라는 속담처럼, 한반도에서는 소한 기간을 강타했던 추위가 대한 무렵에는 물러나는 경향을 보인다. 중국의 고문헌에서 대한 이후 기간을 5일 단위로 3후로 구분하는데, 초후(初候)에는 닭이 알을 낳고, 중후(中候)에는 새가 높고 빠르게 날며, 말후(末候)에는 연못의 물이 단단하게 언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기록은 조선 초 이순지(李純之) 등이 펴낸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1444) 등 한국의 여러 문헌에도 인용되고 있는데, 중국 문헌의 절기는 주(周)나라 때 화북(華北, 지금의 화베이 지방으로 베이징과 텐진이 있는 지역) 지방의 기후를 기준으로 기술된 것이어서 한국의 기후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 한 해의 마지막 절기여서, 대한 기간의 마지막 날을 '절분(節分)'이라고 해서 계절을 마감하고 새로 시작하는 때로 보았다.
풍속 |
대한은 정초한파(正初寒波)라고 하는 소한 추위가 물러서는 날이 많아, "춥지 않은 소한 없고 포근하지 않은 대한 없다"는 속담도 있다. 계절적으로 한 해의 매듭을 짓는 날이라고 여겨, 농가에서는 찰밥을 짓고 시래깃국을 끓이며, 동치미와 녹두전을 시절 음식으로 즐겼다. 또한 해넘이라는 뜻으로 방이나 마루에 콩을 뿌려 악귀를 쫓고 새해를 맞기도 했다. 조선 후기 다산 정약용의 아들 정학유(丁學游)가 지은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중 '12월령(음력이므로 대체로 양력 1월 무렵에 해당)'에 대한 절기에 대한 당시 농촌 풍습이 전한다.
관용구·속담 |
- 대한 끝에 양춘이 있다.
어렵고 괴로운 일을 겪고 나면 즐겁고 좋은 일도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대한이 소한의 집에 가서 얼어 죽는다.
글자 뜻으로만 보면 대한이 소한보다 추워야 할 것이나 사실은 소한 무렵이 더 추운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동의 속담>
‘소한 얼음 대한에 녹는다’ ‘소한의 얼음 대한에 녹는다’ ‘추운 소한은 있어도 추운 대한은 없다’ ‘춥지 않은 소한 없고 추운 대한 없다’
'정보 나눔 > 24절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절기]경칩 / 속담 (0) | 2022.03.05 |
---|---|
[24절기] 눈이 녹아서 비나 물이 된다는 날_"우수" / 속담 (0) | 2022.02.19 |
[24절기] 입춘(立春)( 첫 번째 절기) / 풍속 / 관련 속담 (0) | 2022.02.05 |
[24절기] 소한(23 번째 절기) : 가장 추운 날, 새해 첫 절기 / 속담 (0) | 2021.12.31 |
[24절기] 동지(22 번째 절기) / 동지 팥죽 / 애동지 / 속담 (0) | 2021.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