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출처: 픽사베이 / 다음백과 |
24절기 중 여덟 번째 절기, 소만(小滿)
더위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날
계절 | 24 절기(節氣) | |||||
봄 | 입춘(立春) | 우수(雨水) | 경칩(驚蟄) | 춘분(春分) | 청명(淸明) | 곡우(穀雨) |
여름 | 입하(立夏) | 소만(小滿) | 망종(芒種) | 하지(夏至) | 소서(小暑) | 대서(大暑) |
가을 | 입추(立秋) | 처서(處暑) | 백로(白露) | 추분(秋分) | 한로(寒露) | 상강(霜降) |
겨울 | 입동(立冬) | 소설(小雪) | 대설(大雪) | 동지(冬至) | 소한(小寒) | 대한(大寒) |
□ 24절기(節氣)
1달에서 5일을 1후, 3후인 15일을 1기라 하여 이것이 기후를 나타내는 기초가 된다. 1년을 12절기와 12중기로 나누어 보통 24절기라 하는데, 절기는 1달 중 월초에 해당하며, 중기는 월중에 해당한다.
24절기에는 봄이 시작되는 입춘을 비롯하여 우수·경칩·춘분·청명·곡우·입하·소만·망종·하지·소서·대서·입추·처서·백로·추분·한로·상강·입동·소설·대설·동지·소한, 그리고 겨울의 매듭을 짓는 대한이 있다.
24절기는 중국의 계절을 기준으로 했기 때문에 한국의 기후에 꼭 들어맞지는 않는다. 또한 날짜가 경도에 따라 변하므로 매년 양력은 같지만 음력은 달라진다. 음력 날짜가 계절과 차이가 많이 날 때는 윤달을 넣어 계절과 맞게 조정한다. 그 외 한식·단오·삼복·추석 등은 한국에서 오래전부터 사용해오던 절기이다.
▷ 사주에서 띠의 기준 시작점 또한 24절기의 시작인 입춘이다.
▷ 삼복(초복, 중복, 말복)은 24절기로 착각하기 쉬운 날이지만 이날은 잡절에 속하며 24절기에 포함되지 않는다. 다만 정하는 규칙에 24절기에 해당하는 날이 기준으로 들어있어 24절기에 의해 정해지는 것은 맞다. 삼복은 십간이 '경'인 날에 든다는 또 다른 특성이 있어서 10일 단위의 날이 되며 해마다 24절기보다는 날짜가 더 확확 변한다. 그래서 한 해의 복은 이듬해의 복과 정확히 360일 또는 370일 간격이다.
소만(小滿): 24절기 中 여덟 번째 절기 |
입하와 망종 사이에 있는 24절기의 하나. 양력 5월 20~21일 무렵이다. 태양의 황경이 60°이며,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농사일이 바빠진다. 이른 지역에서는 모내기에 들어가며 보리를 수확한다. 만물이 무럭무럭 성장하는 가운데 날씨가 불안정하여 한여름처럼 더워졌다가 비바람이 불고 기온이 떨어지기도 한다.
소서와 소설, 소한은 모두 대서, 대설, 대한 등 이와 대응하는 절기가 있지만 유독 소만만큼은 이에 대응하는 대만(大滿)이라는 절기가 없다
유래
'소만'이라는 말은 만물이 자라서 세상을 가득 채운다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중국의 전통의학서인 <황제내경(黃帝內經)>(기원전 475~221)에 계절의 변화와 인간의 삶에 대해 언급된 이래, 당나라의 역사서인 <구당서(舊唐書)>(945), 원나라의 <수시력(授時曆)>(1281) 등 여러 문헌에 소만 기간을 5일 단위로 3후로 구분하고 있다.
이들 기록에 따르면 초후(初候)에는 씀바귀가 줄기를 키우고, 중후(中候)에는 봄나물인 냉이가 말라죽으며, 말후(末候)에는 보리가 익는다. 소만 기간에 대한 이런 묘사가 조선 초 이순지(李純之) 등이 펴낸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1444) 등 한국의 여러 문헌에도 인용되고 있는데, 중국 문헌의 절기는 주(周)나라 때 화북(華北, 지금의 화베이 지방으로 베이징과 텐진이 있는 지역) 지방의 기후가 바탕이 된 것이기 때문에 한국의 각 지역 기후와는 차이가 있다.
풍속
소만 무렵 농촌에서는 본격적으로 농사일이 바쁘게 시작된다. 논을 갈아 물을 대어 모내기 준비를 하고, 빠른 지역에선 모내기를 하기도 한다. 보리가 익어 수확을 서둘러야 하며, 밭작물도 모종을 심는다. 가을에 거둔 곡식이 떨어지고 보리 수확이 본격적으로 시작될 때인 이 무렵을 전에는 '보릿고개'라고 부르기도 했다. 비가 내린 후 죽순이 올라오면 살짝 데쳐 별미로 먹었으며 향이 좋은 개똥쑥으로 쑥국을 끓여 먹었다. 갓 거둔 보리로 햇보리밥을 해먹었다. 죽순을 낸 대나무가 양분을 잃고 누렇게 변한 것을 죽추(竹秋)라고 불렀다.
소만 무렵 날씨는 변화가 심해 한여름 기온을 보이다가도 삽시간에 비바람이 불고 기온이 내려가기도 해서, “소만 바람에 늙은이가 얼어 죽는다”라는 속담이 있다. 조선 후기 다산 정약용의 아들 정학유(丁學游)가 지은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중 '4월령(음력이므로 대체로 양력 5월 무렵에 해당)'에 입하, 소만 절기에 대한 당시 농촌 풍습이 전하는데 “4월이라 맹하(孟夏, 초여름)되니 입하, 소만 절기로다”라고 하여, 이 무렵부터 여름 기후가 나타나고 식물이 무성하게 자란다고 보았다.
관련 속담
- 소만 바람에 설늙은이 얼어 죽는다
소만 무렵에 부는 바람이 몹시 차고 쌀쌀하다는 말. - 소만 추위에 소 대가리 터진다
소만 무렵의 쌀쌀한 추위가 만만치 아니하다는 말.
'정보 나눔 > 24절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절기] 하지(夏至) / 유래, 풍속, 관련속담 /하지감자 (0) | 2022.06.22 |
---|---|
[24절기] 망종(芒種) / 유래, 풍속, 관련 속담 (0) | 2022.06.21 |
[24절기] 입하(立夏) / 유래, 풍속, 관련 속담 (0) | 2022.05.04 |
[24절기] 곡우(穀雨) / 관련속담 (0) | 2022.04.21 |
[24절기] 청명(淸明) / 관련 속담 (0) | 2022.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