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출처: 다음 백과 / |
24절기 중 열두 번째 절기, 대서(大暑)
일 년 중 가장 더운 때, 큰 더위
계절 | 24 절기(節氣) | |||||
봄 | 입춘(立春) | 우수(雨水) | 경칩(驚蟄) | 춘분(春分) | 청명(淸明) | 곡우(穀雨) |
여름 | 입하(立夏) | 소만(小滿) | 망종(芒種) | 하지(夏至) | 소서(小暑) | 대서(大暑) |
가을 | 입추(立秋) | 처서(處暑) | 백로(白露) | 추분(秋分) | 한로(寒露) | 상강(霜降) |
겨울 | 입동(立冬) | 소설(小雪) | 대설(大雪) | 동지(冬至) | 소한(小寒) | 대한(大寒) |
□ 24절기(節氣)
1달에서 5일을 1후, 3후인 15일을 1기라 하여 이것이 기후를 나타내는 기초가 된다. 1년을 12절기와 12중기로 나누어 보통 24절기라 하는데, 절기는 1달 중 월초에 해당하며, 중기는 월중에 해당한다.
24절기에는 봄이 시작되는 입춘을 비롯하여 우수·경칩·춘분·청명·곡우·입하·소만·망종·하지·소서·대서·입추·처서·백로·추분·한로·상강·입동·소설·대설·동지·소한, 그리고 겨울의 매듭을 짓는 대한이 있다.
24절기는 중국의 계절을 기준으로 했기 때문에 한국의 기후에 꼭 들어맞지는 않는다. 또한 날짜가 경도에 따라 변하므로 매년 양력은 같지만 음력은 달라진다. 음력 날짜가 계절과 차이가 많이 날 때는 윤달을 넣어 계절과 맞게 조정한다. 그 외 한식·단오·삼복·추석 등은 한국에서 오래전부터 사용해오던 절기이다.
▷ 사주에서 띠의 기준 시작점 또한 24절기의 시작인 입춘이다.
▷ 삼복(초복, 중복, 말복)은 24절기로 착각하기 쉬운 날이지만 이날은 잡절에 속하며 24절기에 포함되지 않는다. 다만 정하는 규칙에 24절기에 해당하는 날이 기준으로 들어있어 24절기에 의해 정해지는 것은 맞다. 삼복은 십간이 '경'인 날에 든다는 또 다른 특성이 있어서 10일 단위의 날이 되며 해마다 24절기보다는 날짜가 더 확확 변한다. 그래서 한 해의 복은 이듬해의 복과 정확히 360일 또는 370일 간격이다.
대서(大暑): 24절기 中 열 두 번째 절기 |
소서와 입추 사이에 있는 24절기의 하나. 양력 7월 23일 무렵이다. 대서는 '큰 더위'라는 뜻으로 태양의 황경이 120°인 때이다. 중복 시기와 비슷하며 폭염이 기승을 부리는 시기이다.
유래
'대서'라는 말은 '큰 더위'라는 뜻으로 '작은 더위'를 뜻하는 절기인 '소서' 다음에 오며, 연중에서는 1월에 있어 '작은 추위', '큰 추위'를 뜻하는 절기인 소한(小寒), 대한(大寒)과 대치되는 시기이다. 중국의 전통의학서인 <황제내경(黃帝內經)>(기원전 475~221)에 계절의 변화와 인간의 삶에 대해 언급된 이래, 당나라의 역사서인 <구당서(舊唐書)>(945), 원나라의 <수시력(授時曆)>(1281) 등 여러 문헌에 대서 기간을 5일 단위로 3후로 구분하고 있다. 이들 기록에 따르면 대서의 초후(初候)에는 썩은 풀에서 곤충이 자라고, 중후(中候)에는 흙이 습해지며 날씨가 더워지고, 말후(末候)에는 큰 비가 때때로 내린다.
대서에 대한 이런 묘사가 조선 초 이순지(李純之) 등이 펴낸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1444) 등 한국의 여러 문헌에도 인용되고 있는데, 중국 문헌의 절기는 주(周)나라 때 화북(華北, 지금의 화베이 지방으로 베이징과 텐진이 있는 지역) 지방의 기후가 바탕이 된 것이기 때문에 한국의 지역 기후와는 차이가 있어 이런 절기 묘사는 실제로 한반도의 소서 시기의 기후와 유사하다. 한반도에서는 장마가 지나고 무더위가 가장 심할 때여서, 대서에는 "더위로 염소뿔이 녹는다"라는 속담이 있다. 대서 시기가 지나면 바람에서 가을 냄새가 느껴지는 입추가 온다.
풍속
대서를 전후해서 한반도에는 장마전선이 끝나고 폭염이 기승을 부리며, 중복 무렵에 해당되어 더위를 피해 계곡을 찾거나 보양 음식을 마련해 먹는다. 고대 중국에서는 대서를 맞아 황제가 신하에게 얼음을 하사하는 풍습이 있었다. 이 얼음은 겨울에 채취하여 빙고에 저장했던 것을 꺼낸 것으로, 베이징에 여러 곳의 빙고가 있었다. 또한 대서를 전후하여 민간에서는 햇볕에 옷을 말리고, 사찰에서는 경서를 꺼내어 습기를 제거하기도 했다. 더운 여름철을 위한 보양식으로는 연잎죽을 즐겨 먹었다.
한반도에서는 장마철에 부쩍 자란 잡초를 베어 퇴비를 장만하며, 논밭에 무성한 김매기에 여념이 없는 계절이다. 수박과 참외 등 여름 과일이 풍성하여 더위에 지친 입맛을 살려준다. 조선 후기 다산 정약용의 아들 정학유(丁學游)가 지은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중 '유월령(음력이므로 대체로 양력 7월 무렵에 해당)'에 소서, 대서 절기에 대한 당시 농촌 풍습이 전한다.
관련 속담
- 대서 더위에 염소 뿔도 녹는다.
염소 뿔은 매우 단단하다고 알려져 있는데 그런 염소 뿔마저 대서에는 무더위로 인해 녹는다는 것을 표현한 속담이다. - 오뉴월 장마에 돌도 큰다.
장마철이 지나고 무더위가 가장 극심해지는 시기로 장마철이 지나도 뜨거운 햇볕을 받으며 돌도 자란다는 의미로 온갖 곡식들과 채소들이 잘 자란다는 것을 재미있게 표현한 속담입니다.
'정보 나눔 > 24절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절기] 열네 번째 절기, 처서(處暑) / 관련 속담 (0) | 2022.08.26 |
---|---|
[24절기] 입추(立秋), 유래 / 풍속 / 관련 속담 (0) | 2022.08.10 |
[24절기] 소서(小暑), 유래 / 풍속 / 관련 속담 (0) | 2022.07.06 |
[24절기] 하지(夏至) / 유래, 풍속, 관련속담 /하지감자 (0) | 2022.06.22 |
[24절기] 망종(芒種) / 유래, 풍속, 관련 속담 (0) | 2022.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