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나눔/24절기

[24절기] 백로(白露)

728x90
반응형

자료출처: 다음백과

 

열다섯 번째 절기, 풀잎에 이슬이 맺히는 백로(白露)
'이슬이 맺힌 것이 하얗게 보인다'하여 백로(白露)

 

계절 24 절기(節氣)
입춘(立春) 우수(雨水) 경칩(驚蟄) 춘분(春分) 청명(淸明) 곡우(穀雨)
여름 입하(立夏) 소만(小滿) 망종(芒種) 하지(夏至) 소서(小暑) 대서(大暑)
가을 입추(立秋) 처서(處暑) 백로(白露) 추분(秋分) 한로(寒露) 상강(霜降)
겨울 입동(立冬) 소설(小雪) 대설(大雪) 동지(冬至) 소한(小寒) 대한(大寒)

 

□ 24절기(節氣) 

1달에서 5일을 1후, 3후인 15일을 1기라 하여 이것이 기후를 나타내는 기초가 된다. 1년을 12절기와 12중기로 나누어 보통 24절기라 하는데, 절기는 1달 중 월초에 해당하며, 중기는 월중에 해당한다.

24절기에는 봄이 시작되는 입춘을 비롯하여 우수·경칩·춘분·청명·곡우·입하·소만·망종·하지·소서·대서·입추·처서·백로·추분·한로·상강·입동·소설·대설·동지·소한, 그리고 겨울의 매듭을 짓는 대한이 있다. 

24절기는 중국의 계절을 기준으로 했기 때문에 한국의 기후에 꼭 들어맞지는 않는다. 또한 날짜가 경도에 따라 변하므로 매년 양력은 같지만 음력은 달라진다. 음력 날짜가 계절과 차이가 많이 날 때는 윤달을 넣어 계절과 맞게 조정한다. 그 외 한식·단오·삼복·추석 등은 한국에서 오래전부터 사용해오던 절기이다.

▷ 사주에서 띠의 기준 시작점 또한 24절기의 시작인 입춘이다.

▷ 삼복(초복, 중복, 말복)은 24절기로 착각하기 쉬운 날이지만 이날은 잡절에 속하며 24절기에 포함되지 않는다. 다만 정하는 규칙에 24절기에 해당하는 날이 기준으로 들어있어 24절기에 의해 정해지는 것은 맞다. 삼복은 십간이 '경'인 날에 든다는 또 다른 특성이 있어서 10일 단위의 날이 되며 해마다 24절기보다는 날짜가 더 확확 변한다. 그래서 한 해의 복은 이듬해의 복과 정확히 360일 또는 370일 간격이다.

 

백로(白露): 24절기 中 열다섯 번째 절기

 

24절기의 하나로, 대개 음력 8월 중에 있으며 양력 9월 8~9일이다.
태양의 황경이 165°이며, 가을 기분이 들기 시작하는데, 이슬 맺힌 것이 하얗게 보인다는 뜻이다. 장마가 끝나고 쾌청한 날씨가 계속되나, 때로는 늦은 태풍과 해일의 피해를 입기도 한다.

 

유래

 

처서와 추분 사이의 절기이며, 한해 가운데 15번째의 절기이고, 양력 9월 8~9일 무렵이다. 백로(白露)는 '흰 이슬'이라는 뜻이며, 늦여름의 습기가 미처 가시지 않은 가운데 밤 기온이 내려가 이슬이 맺히는 계절이어서 이런 명칭이 붙었다.

 
기후

 

24절기는 태양력에 바탕을 두고 있는데, 백로는 태양의 황경이 165°에 이른 날을 말한다. 백로를 전후해서는 대개 장마 후 계속되던 무더위가 가시기 시작하며, 하늘이 높아지고 맑은 날씨가 계속되어 따가운 가을 햇살이 곡식을 여물게 한다. 간혹 늦은 태풍이 올라와 한해 동안 잘 키운 농작물을 망치기도 한다.

 
풍속

 

백로가 지나면서 기러기가 남하하기 시작하고, 제비는 남쪽으로 내려가기 시작하는 것이 관찰된다. 벼농사의 경우 백로 전에 이삭이 여물기 시작해야 풍년이 든다고 전해져 왔다. 대개 백로 이후 벼가 충분히 익어 추수할 때까지 사이에 일손을 잠시 쉬면서 추석을 대비하여 조상 묘의 벌초를 하는 시기이다.

 

옛 중국 사람들은 백로입기일(白露入氣日)로부터 추분까지의 시기를 5일씩 삼후(三候)로 나누어 그 특징을 말하였는데, 초후(初候)에는 기러기가 날아오고, 중후(中候)에는 제비가 강남으로 돌아가며, 말후(末候)에는 뭇새들이 먹이를 저장한다고 하였다.

이때 우리나라에는 장마도 걷히고 중후와 말후에는 쾌청한 날씨가 계속된다. 간혹 남쪽에서 불어오는 태풍이 곡식을 넘어뜨리고 해일(海溢)의 피해를 가져오기도 한다. 백로가 음력 7월 중에 드는 수도 있는데 제주도와 전라남도 지방에서는 그러한 해에는 오이가 잘 된다고 한다. 또한 제주도 지방에서는 백로에 날씨가 잔잔하지 않으면 오이가 다 썩는다고 믿는다.

경상남도의 섬지방에서는 ‘백로에 비가 오면 십리(十里) 천석(千石)을 늘인다.’고 하면서 백로에 비가 오는 것을 풍년의 징조로 생각한다. 또 백로 무렵이면 고된 여름 농사를 다 짓고 추수까지 잠시 일손을 쉬는 때이므로 근친(覲親)을 간다.

 

 

관련 속담

 

  • 8월 백로에 비가 오면 십리 천석을 늘린다.
    백로에 비가 오면 풍년이 들 징조로 여겼다. 

  • 백로전미발
    제주도 속담으로, 백로 전까지는 꼭 벼이삭이 나와야 한다는 뜻. 백로가 지나면 벼가 더 이상 크지 못한다는 뜻이다.

  • 칠월 백로에 패지 않은 벼는 못 먹어도 팔월 백로에 패지 않은 벼는 먹는다.
    음력 칠월에 드는 백로 때까지 패지 않은 벼는 먹기 힘들지만 음력 팔월 백로에 패지 않은 벼는 먹을 수 있다는 뜻
    일반적으로 백로는 음력 팔월에 드는 절기인데 음력 칠월에 벌써 백로가 들었다면 이는 절기가 일찍 진행된다는 뜻으로 이때까지도 벼가 패지 않으면 이후 농경기 동안 벼가 여물어 추수할 시간을 가질 수 없고 상대적으로 팔월에 드는 백로는 칠월 백로에 비해 절기 진행이 늦은 편이므로 아직 기대해 볼만한 여유가 남아 있다는 뜻이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