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정보 나눔/HEALTH

(78)
[건강기능식품] 건강기능식품 안전하게 섭취하는 방법 자료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 정책브리핑 ▷ 건강기능식품이란?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한 식품을 말한다. Q1.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인정한 기능성 원료는? 비타민, 무기질 28종과 인삼, 프로바이오틱스 등 기능성 원료 68종을 고시하였다. 그리고 기능성 심사를 거쳐 인정받은 기능성 원료도 256종이 있다. Q2. 건강기능식품 섭취 시 주의해야 할 점 제품에 표시된 일일섭취량과 섭취 시 주의 사항을 따르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이상사례가 발생하는 경우 섭취를 중단하고 전문가와 상담할 것을 권장한다. Q3. 밀크씨슬 추출물의 섭취 시 주의사항 간 건강에 도움을 주는 ‘밀크씨슬(카르두스 마리아누스) 추출물’을 섭취할 때는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할까? 어린이, ..
[폭염] 폭염 대처방법 / 일사병 /열사병 자료출처: 행정안전부 / 정책브리핑 33°C, 폭염 주의보 35°C, 폭염 경보 ▶ 33°C, 폭염 주의보 일 최고 체감온도 33°C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또는 급격한 체감온도 상승, 폭염 장기화 등으로 중대한 피해 발생이 예상될 때 ▶ 35°C, 폭염 경보 일 최고 체감온도 35°C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또는 급격한 체감온도 상승, 폭염 장기화 등으로 광범위한 지역에서 중대한 피해 발생이 예상될 때 폭염 대처방법 ① TV, 인터넷, 라디오 등을 통해 무더위 기상상황을 수시로 확인한다. ② 술이나 카페인이 들어간 음료보다는 수분 섭취를 많이 한다. ③ 온도가 높아지는 10시~12시, 가장 더운 14시~16시에는 야외활동을 자제한다. ④ 식중독 예방..
[수산물 세균성 질병] 비브리오 패혈증 / 장염비브리오 자료출처: 해양수산부 / 정책브리핑 / 다음백과 비브리오 패혈증 Vibrio vulnificus Septicemia 비브리오 패혈증은, 비브리오균에 오염된 어패류를 생식하거나 피부의 상처를 통해 비브리오균에 감염되었을 때 발생하는 질환이다. 비브리오균은 평균 1~2일의 잠복기를 거친 후 패혈증을 유발한다. 다양한 피부 병변과 오한, 발열 등의 전신 증상과 설사, 복통, 구토, 하지 통증이 동반된다. 비브리오 패혈증에 의한 사망률은 40~50% 정도로 매우 높다. 조기 진단 및 신속한 치료가 필요한 급성 질환이다. 감염 원인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비브리오 패혈증균)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패혈증 발생 시기 매년 5~6월쯤 발생하기 시작해 8~9월에 가장 많이 발생 주의 대상 치사율이 50% 전후로 매우 높으므..
[건강] 구강건강 관리법 자료출처: 보건복지부 / 한국건강증진개발원 / 다음백과 / 정책브리핑 탄산음료 등 산이 포함된 음료를 마신 후에는 치아가 약해져 있으므로 바로 양치질을 하면 치아가 상한다. 이때는 먼저 물로 입을 헹군 후, 약 1시간 후에 양치질을 하는 것이 좋다. 나이가 들면서 우리 몸이 변하는 것처럼 연령별로 입속 환경도 바뀌고 그에 따라 발생 위험이 높은 구강질환과 관리법도 달라진다. 이가 나고 유치가 자리잡는 영유아시기 1. 영유아 정기검진 받기 아이가 처음 이가 나는 생후 6개월부터는 주기적으로 정기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 2. 젖병 사용 지양 유치가 나기 시작하면, 밤중 수유나 젖병 사용은 자제해야 한다. 유아기 우식증, 즉 유아기 충치가 발생할 수 있다. 영구치가 자리잡는 아동기 1. 초등학생 시기에는 집..
[응급조치] 기도가 폐쇄되거나 피가 흐를 때 응급조치 자료출처: 정책브리핑 / 소방청 □ 기도 폐쇄 □ 처치자 위치: 환자 뒤에서 감싸 안는다.(환자 양발 사이에 발 하나를 위치) 손 위치: 명치 끝과 배꼽 사이(주먹을 쥔 엄지축이 안으로 향하게) 확인 및 기침 격려 “목에 뭐가 걸렸습니까? 계속 기침하세요!” 등 두드리기+복부 밀어내기 소리 나는 기침이 아닌 경우 5회 등 두드리기+5회 복부 밀어내기 반복(의식이 없는 경우 심폐소생술 실시) ▷ 환자의 키가 처치자 보다 크거나, 환자가 서 있기 힘든 경우(노인·장애인) 환자를 의자에 앉게 한 다음에 기도 폐쇄 처치 실시 ▷ 임신부의 경우 배가 아닌 흉부(가슴뼈) 밀어내기 실시 이유: 복부 밀어내기로 태아가 다칠 수 있기 때문 ▷ 처치자 발은 앞뒤로 일자로 벌려 한쪽 발은 환자 발 사이에 넣기 이유: 환자 ..
[건강 이야기] 핫팩 저온화상 주의, 국가통합인증마크(KC) 확인 핫팩 관련 위해사례 226건 (2015년부터 3년 6개월 간 소비자 위해 감시시스템에 접수된 건수 _ 한국소비자원) 2015년부터 3년 6개월간 '소비자 위해 감시시스템'에 접수된 핫팩 관련 위해 사례 226건 중 화상이 87.2%로 가장 많았고, 제품 파손 등의 품질 관련 접수가 5.3%였다고 한다. 화상 피해 중 2도 화상이 49.2%, 3도 화상이 43%, 1도 화상이 7.8%라고 한다. 이처럼 핫팩은 저온화상에 노출될 위험이 크다. 10시간 이상 온 도가 지속되고 최고 70℃까지 온도가 올라가기 때문이다. 핫팻은 분말형과 액체형 제품으로 나뉜다. 최근에는 충전식 전자 핫팩, 물주머니 핫팩, 붙이는 핫팩까지 다양하게 판매되고 있다. 핫팩 사용시 주의사항 취침시 사용하지 않기 침구 내에서 핫팩을 사용..

728x90
반응형
LIST